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짧은 파장의 빛을 이용해야 한다. 빛의 파장이 충분히 짧아야 분해능이 좋아져서 더
작은
물체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구멍 간격보다 짧은 파장의 빛을 전자에 쬐어보자. 전자의 운동량 변화는 광자가 가진 운동량의 크기와 비슷할 거다. 길을 가다가 자동차에 치이면, 그 힘만큼 ... ...
요즘 드라마 ‘남주’는 왜 다 ‘다중인격’일까
2015.01.23
해리성 정체 장애가 있는 사람의 해마와 편도체의 크기가 정상인에 비해 각각 19.6%, 31.6%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편도체가 제거된 동물은 외부에서 위협을 받아도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해마가 손상되면 새로운 기억을 만들지 못해 바로 전에 한 일도 잊어버린다. 하지만 개인별 뇌 구조와 ... ...
기억 만드는 해마신경세포 보호 물질 발굴
2015.01.22
유전자 구조체를 만들었다고 22일 밝혔다. 유전자 구조체란 생물체에 전달하고자 하는
작은
유전자를 끼워 넣은 큰 유전자를 말한다. 뇌세포가 손상되면서 일어나는 치매와 파킨슨병은 아직까지 원인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고 현재로서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치료의 전부다. 이런 ... ...
일회성 아닌 지속가능한 진로·인성교육 힘써
동아일보
l
2015.01.22
주는 충남 장항중 충남 서천군 장항중학교는 전교생이 440여 명으로 바닷가에 위치한
작은
학교다. 매주 수요일이면 학교는 시끌시끌해진다. 테드(TED·미국 비영리재단에서 운영하는 무료 강연회)를 본뜬 ‘푸른 바다 TED’가 열리기 때문. 강연자, 청중 모두 학생이다. 무대에 서려면 사전에 계획서를 ... ...
부상병 안고 뛰는 한국형 구조로봇 첫 개발
2015.01.22
도 경사면도 거침없이 등판할 수 있어 어디서나 구조 활동이 가능하다. 두 팔로는 체구가
작은
성인 한 명(60㎏)을 안아 올릴 수 있어 구조용 로봇의 기본 기능을 모두 갖췄다. ADD는 향후 T-100을 토대로 추가연구를 진행해 120㎏이 넘는 무게를 안아 올릴 수 있는 고성능 구조 로봇 개발에 착수할 ... ...
KAIST는 쿡 찍어내고, 포스텍은 둘둘 말고
2015.01.19
둘둘 말아 원료가 촉매 표면과 반응하는 횟수를 늘렸다. 또 두루마리 형태이다 보니
작은
규모의 반응기를 쓸 수 있어 복잡한 설비가 필요 없고 제조 시간이 단축되며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 이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나노스케일(Nanoscale)’ 28일자 표지논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 ...
바오밥나무와 사랑에 빠진 식물학자
2015.01.18
소설 ‘어린왕자’를 생각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가운데 하나다. 기자에게는
작은
행성 위에 우뚝 솟은 거대한 나무와 그 옆에 외롭게 서 있는 어린왕자의 모습이 인상적으로 남아 있다. 어린시절 기자는 바오밥나무가 상상 속 나무일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다 텔레비전 화면에 잡힌 바오밥나무에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2015.01.18
받는다. 고양이 같은 큰 물체는 아무렇지 않지만, 전자라면 사정이 다르다. 전자같이
작은
입자는 빛에 맞으면 휘청거린다. 이 충격은전자의 운동량을 바꾼다. 결국 측정하는 행위가 위치나 속도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없다. 당신이 지갑을 들여다보니 돈이 1만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1.16
문을 연 지 4년이 넘었지만 집에서 다람쥐를 키우는 탓에 한 번도 들어가지 못했다”며 “
작은
오염에도 늙은 쥐는 쉽게 죽을 수 있는 만큼 대통령이 방문해도 사육실엔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생쥐 한 마리당 가격은 월령(月齡)에 따라 다르지만 100만 원을 훌쩍 넘기도 한다. 워낙 애지중지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고릴라의 평균 두뇌 용량과 비슷하며, 인류 계통으로는
작은
편입니다. 이렇게 비교적
작은
두뇌 용량으로 도구를 만들고 사용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두뇌 용량의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한 고고학 자료가 남아있는 것을 고려했을 때, 초기 인류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물론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