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1건 검색되었습니다.
암 정복 앞당기는 '항체의약품'
동아사이언스
l
2013.09.15
‘보상’을 느끼는 부분을 활성화해 사회적 행동을 강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 네이처 12
일자
에 발표했다. 사랑 호르몬으로 불리는 옥시토신은 쥐와 인간의 협동이나 우정같은 사회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지만 정확한 매커니즘이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런데 옥시토신이 뇌가 ‘보상’을 ... ...
은나노선만 있으면 태양전지 효율↑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나노 굵기의 선을 이용해 태양전지 효율을 2배나 높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재료연구소 소자기능 박막연구실 송명관, 김동호 박사팀은 전북대 유연인쇄전자공학과 ...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9
일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연잎 덕분에 만들어진 메모리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10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고 '어드벤스트 머티리얼즈' 온라인판 1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연잎효과에 착안해 돌기가 연잎 표면을 덮고 있는 것처럼 '나노선' 돌기가 메모리 표면을 덮고 있는 소자를 만들었다. 이 메모리 소자를 물 속에 넣으면 물이 메모리 소자에 직접 ... ...
인체 영향없이 자세히 질병진단 가능한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빛의 일종인 ‘테라헤르츠파’를 1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의 좁은 구멍을 통해 나올 수 있도록 집중시키는 기술이 나왔다. 김대식 서울대 물리천문학 ...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
일자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 ...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김윤호 박사(좌)와 가재원 박사(우) -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핵심기술로 알려진 유기트랜지스터를 손쉽게 크고 넓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 ...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 온라인 8월 21
일자
에 실렸다 ... ...
유방암만 잡는 줄 알았더니 당뇨까지 치료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GSK5182가 ERRγ에 작용해 당뇨병을 치료한다는 것을 밝힌 국내 연구팀. 왼쪽부터 최흥식 전남대 생명과학기술학부 교수, 구승회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 이철호 한국생명공학연 ... 이 연구결과는 내분비학 및 대사 분야 국제학술지 '다이어비티즈'(Diabetes) 온라인판 8월 23
일자
에 실렸다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흥미진진하다. ●두 거장의 다른 죽음 학술지 ‘사이언스’ 2007년 11월 9
일자
에는 인도네시아의 저명한 고인류학자 테우쿠 자콥의 사망을 알리는 단신이 실렸다. 많은 업적에도 불구하고 과학사에서 그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연구를 집요하게 방해한 인물로 남지 않을까. - 사이언스 제공 ... ...
길고양이, ‘내시’ 만들지 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01
정관이나 난관을 절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연구를 ‘미국수의학회지’ 8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 길고양이는 쓰레기통을 뒤져 주변을 더럽게 만들고, 세균을 옮기기도 한다. 또 수고양이 자신의 영역에 다른 수컷을 못 들어오게 막으면서 자기 구역의 암고양이를 임신시켜 개체수를 늘린다. ... ...
테디베어 닮은 신종 포유류 발견
과학동아
l
2013.08.30
신종 포유류 '올링귀토' - Mark Gurney 제공 인기 캐릭터 '테디베어'를 닮은 새로운 포유류 '올링귀토'가 ...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학술지 '주키'(ZooKeys) 8월 15
일자
에 실렸다. ... ...
장내미생물이 염증도 치료한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29
지닌 유전자 다양성이 부족하고 아커만시아 종의 수가 적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29
일자
에 발표했다. 다양한 장내 미생물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정상인과 비만인을 대상으로 장내미생물 군집을 조사한 결과 뚱뚱할수록 장내미생물 유전자 다양성은 낮고 인슐린 저항성, 염증도, 혈중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