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1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작용 없이 탱탱한 피부 갖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30
항상 20대 같은 피부를 유지하고 싶은 것은 남녀노소 모두의 욕망이다. 여성들에게 어린아이 같은 피부에 글래머 몸매를 가진 '베이글녀'는 욕망의 대상이자 질투의 대상 ...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면역분야 권위지 '플로스 패서젠스(PLoS Pathogens)' 10월 10
일자
에 실릴 예정이다 ... ...
미래車 동력, 연료전지 효율 확~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9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동력원으로 불리는 ‘연료전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기술을 개발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 성영은 그룹리더 연구팀은 연료전 ...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온라인 판 18
일자
에 실렸다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
과학동아
l
2013.09.26
플랜트호퍼 뒷다리를 연결하는 톱니조직 - 사이언스 제공 플랜트호퍼 - 사이언스 제공 말콘 버로우즈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 물학과 연구팀은 ... 되면 망 가진 톱니는 고칠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이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9월 13
일자
에 소개됐다 ... ...
때아닌 가을모기, 나노입자 앞에서 벌벌
동아사이언스
l
2013.09.25
성장을 막는 수용성 탄소 나노입자를 개발해 영국 과학잡지 ‘RSC Advances' 온라인판 23
일자
에 발표했다. 모기 때문에 밤잠을 설치는 날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모기 유충의 성장을 막는 탄소나노물질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 동아일보 DB 제공 모기에게 물리면 가려움증이 생기는데 문제는 ... ...
태양풍에게서 지구를 지키는 방사선 벨트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4
기존에 알려진 것과는 또 다른 반 알렌 벨트의 생성원인을 밝혀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23
일자
에 발표했다. 반 알렌 벨트는 지구 주위에 펼쳐져 있는 두꺼운 방사선 층으로 태양자기폭풍이 강해질수록 더 두꺼워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지난해 8월 발사된 방사선 벨트 관측 인공위성 ... ...
보이저 1호, 태양권 탈출하다!
과학동아
l
2013.09.24
보이저 1호가 태양권계면을 약 1년 전에 통과했다는 연구결과를 ‘사이언스’ 9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 보이저 프로젝트 책임자인 에드 스톤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도 미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를 통해 “인류가 역사적인 도약을 했다”며 “이제는 보이저 1호가 태양권을 벗어났다고 말할 수 ... ...
게임이 꽃할배 만든다
과학동아
l
2013.09.22
동아일보 DB 제공 사물을 깜빡 잊거나 주의력이 약해진 노인의 뇌를 젊었을 때처럼 생생하게 만들 수 있을까. 최근 비디오 게임을 통해 노인의 떨어진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 (뇌를 깨우는 데) 만능이라는 뜻은 아니다”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9월 5
일자
에 실렸다 ... ...
밤을 아름답게 만드는 야경인줄 알았더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9.22
독일 기후변화 포츠담연구소 스테판 참스톨프 기후학자는 ‘사이언스’ 2007년 1월 19
일자
에 발표한 연구결과에서 해수면이 1.4m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IPCC 전망치의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그는 IPCC가 사용한 기후예측모델이 해수면상승에 작용하는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지 않았으며, ... ...
온도 낮추면 전기 안통한다고? 아니올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뒤집는 셈이다. 이 때문에 이번 연구성과는 물리학 분야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 6
일자
에 실렸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금속-절연체 상전이의 원인이 새롭게 규명됨에 따라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의 물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얇은 원자층을 제작하는 기술이 발전해 ... ...
'뚝딱뚝딱' 손상된 DNA 치료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Dmc1' 단백질이 관여한다는 것을 규명해 생명과학분야 학술지 '몰레큘라 셀' 8월 22
일자
에 소개했다. 손상된 DNA를 복구하기 위해선 절단부위에 알맞은 주형가닥을 선택해 다시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 필요하다. 생식세포의 복구과정에서는 상동염색체가 주형가닥으로 선택되는데, 이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