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공해 대체
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어떤 형이 가장
에너지
를 낭비하지 않는가를 묻는 문제라든가(밑면적이 넓을수록
에너지
절약형), 건축자재 중 어떤 것이 가장 단열효과가 높은가를 묻는 문제들이 출제될 예정이다.관람객들의 얼굴을 직접 찍어 각 부위의 온도를 색깔로 표시해주는 서머비전(thermovision)도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 ...
거미의 생사로 방탄조끼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반동력으로 거미줄에서 벗어나는 상황을 거미가 원치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렇게 운동
에너지
를 흡수하거나 분산시키는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 방탄조끼의 소재로 거미의 생사를 주목하게 한 원인이다.연구팀은 골든 오브 웨버(Golden orb weaver, 학명은 Nephila clavipes)종(種) 거미에서 생사를 ... ...
물질의 궁극적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화학혁명이 일어났으며, 전자의 발견은 전자혁명을 이룩해 냈다. 원자핵이 쪼개지면서는
에너지
혁명이 불붙고 있다. 과연 쿼크와 렙톤은 우리에게 어떤 혜택을 줄 수 있을까 ... ...
3. 입자·파동 이중성지닌 새로운 실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옮길 때에 그
에너지
변화만큼의 양자로 방출된다는 것이다. 이 모형으로 보어는 복사의
에너지
가 일정한 양자에서만 방출된다는 것을 포함해, 설명되지 않았던 많은 문제를 명쾌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확실한 원자의 모형을 찾은 것이다.그러나 아직 그의 가설은 어떤 궤도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저렴하며 손쉽게 세울 수 있다. 또 PCS방식의 전화기는 그 크기가 보다 소형화되고 적은
에너지
로도 송수신이 가능하다.미국내에서 규모가 두번째로 큰 통신회사인 MCI사(社)는 PCS시스템을 전국에 설치하기 위해 사전준비작업을 벌이고 있다. 따라서 1995년 쯤에는 본격적으로 PCS시대가 열릴지도 ... ...
플루토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가운데 ${ }^{238}$Pu 역시 공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것은 α선에 의한 열
에너지
를 이용하여 초소형의 전지와 소형 발전기를 만들 수 있으며 ${ }^{238}$Pu로 부터 γ선이나 X선의 발생이 없기 때문에 특별한 방사선 차폐가 필요치 않기 때문이다. 0.1~1㎽의 최소형 전지는 인공심장을 박동시키는 ... ...
물과 빛으로 쇠를 자른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출력으로부터 결정된다. 대략 1㎾ 출력의 이산화탄소레이저라면 약${10}^{7}$W/㎠의
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금속의 절단에 사용할 수 있다.워터제트절단과 레이저절단은 그 작동원리가 매우 다르지만 두 시스템 모두 절단가공의 자동화와 다른 생산설비와의 연계구축에 유용하다 ... ...
무인 자동차의「화려한 외출」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못하겠지만 생각해보면 얼마나 편리한 도구인가. 자동차 덕분에 우리는 두발로 뛰면서
에너지
를 낭비할 필요없이 가만히 앉아서 가볍게 손발만 움직이면 훨씬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도로에서 교통경찰관 철수이와 같이 인간의 끊임없이 편리함을 추구하는 기질은 결코 이 단계에서 ... ...
4. 원자핵·전자 속의 또다른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모든 원소를 만들 수 있다.그런데 중성자가 전자를 방출하면서 양성자가 되는 과정에서
에너지
와 운동량 보존의 법칙이라는 물리학의 대원칙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부득이 중성미자라는 입자가 필요하게 됐다. 이 중성미자는 원래 파울리교수(작고한 독일물리학자)에 의해 그 존재가 예언됐다 ... ...
색채과학의 르네상스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순간부터 시각은 완전히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게 된다. 즉 망막의 시세포(視細胞)가 빛의
에너지
를 전기신호로 바꿔 뇌까지 전달하는 것이다.1959년 데이비드 H. 휴벨과 토스텐 N. 위젤, 두 사람은 미국의 존스홉킨스대학에서 고양이의 뇌에 전극을 삽입, 뇌의 신경세포에 생기는 반응에 대한 역사적인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