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행복과 성공, 모두 얻는 법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때가 있다. 몸은 쉬어도 뇌가 쉬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안타깝게도 잡생각을 자주하는 사람일수록 행복감을 덜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doi:10.1126/science.1192439). 즉, 행복을 가로 막고 있는 것이 바로 걱정과 고민이다.그렇다면 걱정과 고민을 없애면 행복해질까. 2012년 마음수련 동아리 연합회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구하는 학문이다. 데이터의 내용을 들여다보지 못하게 암호화하거나, 데이터를 다른 사람이 위조하지 못하게 전자서명을 하는 등의 알고리즘을 연구한다.이 중 암호화는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수신자가 알고 있는 공개키(암호를 만드는 일종의 규칙)를 이용해 메시지를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곳곳을 수색했다. 화장실, 화장대, 창문과 문틈의미생물을 모두 다 분석한 결과는, 단 한 사람을 가리키고있었다. 이 집에는 오직 민정만이 살고 있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특히 최근에는 DNA에 메틸기가 붙으면서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메틸화’가 그 사람의 연령이나 생활 습관을 기억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4파트 참조). 과학수사에서도 이런 좋은 정보를 놓칠 리가 없다. 기자와 익명을 요구한 H 기자, L 연구원의 DNA로 신상을 털어봤다.DNA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바퀴벌레 로봇을 들여보내면 생존자가 얼마나 어디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고, 이 정보를 사람을 구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역설적이게도 ‘세상에서 가장 혐오스러운 존재’인 바퀴벌레가 인류에게 지구에 3억 년 넘게 살아남을 수 있었던 노하우를 전수해주고 있는 셈이다 ... ...
- [매스미디어] SHOW ME THE MONEY 6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이 형식을 지켜야 해서 랩보다 더 엄격하게 리듬을 만들고 있다.이런 공통점 때문에 어떤 사람은 랩을 ‘입으로 표현하는 시’라거나 랩은 ‘노래와 시의 중간에 있다’고 말한다. 물론 랩은 노래로 부르는 게 목적이므로 시와 분명히 구분되지만 외국의 일부 대학교에서는 래퍼 카니예 웨스트가 쓴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새로운 지구를 찾기 위해 파견된 우주비행사에 관한 글이요.프로젝트를 시작한 사람들은 우주비행사를 재우고, 그가 잠든 사이에 우주선을 띄워 보냅니다. 하지만 우주선에서 깨어난 우주비행사는 혼란에 빠집니다. 500년 동안 잠들어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거든요. 노래가 흘러나오는 동안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신세계 수학경시대회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데카르트라는 사람이 이렇게 누워서 천장을 보다가 좌표평면을 생각해 냈다지? 그 사람도 뭐가 안 풀렸었나? 침대에 누워서 그런 생각이나 하고 있었다니….’순간 하림이 벌떡 일어났다.‘좌표?’어쩌면 문제를 풀 수 있을 것 같았다.하림은 다시 책상으로 가서 단말기를 켰다. 어젯밤에 보던 ... ...
- Part 2. 유전자 조각 맞추기 퍼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리고 마침내 20세기 후반에 인간과 유인원의 관계도 드러났습니다. 영장류에는 사람과로 분류되는 인간과 유인원 가족인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그리고 오랑우탄이 있습니다. 그 결과 오랑우탄이 인간의 특징을 가장 적게 갖고 있고, 보노보와 침팬지의 DNA는 98% 이상이 우리와 같았습니다.이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청소 위성, 우주 쓰레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개발한 항공기랍니다. 전시돼 있는 스마트 무인기는 길이가 5m, 폭이 7m의 크기였어요.사람이 하늘을 날기 위해서 만든 기계를 ‘항공기’라고 해요. 그 중에서 고정된 날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비행기’, 날개 없이 프로펠러로 날아다니는 것을 ‘헬리콥터’라고 하지요.스마트 무인기는 날아다닐 ... ...
이전5045055065075085095105115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