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생 포토 뉴스] 고등과학원, 국내 최초 수학난제연구센터 설립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수학난제연구센터(CMC, Center for Mathematical Challenges)를 설립했다. 수학난제연구센터는 고려대학교에 자리를 잡았으며, 11월 18일에 개소식을 열었다.수학난제연구센터는 장기간의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한 수학 난제들을 연구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수한 석학들이 ...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겁니다. 작게는 주말에 무슨 영화를 볼지, 친구에게 어떤 선물을 줄지부터 크게는 어떤 대학의 어느 과를 갈지, 직업은 무엇을 가질지, 결혼은 누구랑 할지 등 일생일대의 선택도 해야 하죠. 사람들은 이런 선택의 기로에 섰을 때마다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해서 많은 고민을 합니다. 한 가지를 ... ...
- 만물은 숫자로, 모든 활동은 수학동아리로 통한다! 일산동고 아인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김재모(2학년)이 외에도 아인스의 일년은 리움미술관의 아니쉬 카푸어 특별전 관람, 대학가에서 열리는 연극 관람, 일산동고 동아리연합 체육대회 등 재미있는 행사로 꽉 차 있다.함께 나누는 수학아인스는 바쁜 고등학교 생활 속에서도 어려운 환경의 동생들을 돕는 일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다. 3~ ... ...
- 남극 빙하만이 문제가 아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그런데 다른 지역의 빙하들도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미국 클라크대학교의 알렉스 가드너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위성 자료를 바탕으로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세계 곳곳에 있는 빙하가 어떻게 변했는지 조사했어요. 이 기간 동안 그린란드와 남극을 제외한 다른 지역 19군데의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적이 있다. 군복무를 위한 2년여의 휴학을 마친 뒤 막 버클리로 돌아온 1993년이었다. 당시 대학원 담당 부학과장이던 롭 커비 교수와 이야기를 나누던 중이었는데, 누군가 노크도 없이 들어오는 것이 아닌가?놀란 나를 더욱 놀라게 한 것은 커비 교수의 태도였다. 그렇게 빠를 수 있을까 싶은 속도로 ... ...
- 마지막회 폴의 선택은?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폴에게로 수렴하며 방이 수축했다. 그리고 눈앞이 까맣게 변했다.몇 년 뒤, 폴리스는 한 대학에서 폴을 만났다. 그리고 질문을 던졌다.“그때 무슨 생각으로 결정을 내린 거야?”“규칙을 부수는 건 언제든 할 수 있잖아? 난 다시 한번 세상으로 돌아가 숨겨진 규칙을 발견하고 기쁨을 누리는 길을 ... ...
- 재미있는 전공탐험-강풍에도 끄떡없는 튼튼한 다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등 도시가 원활하게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대부분의 시설물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는 건설관리, 공간정보공학, 교통공학, 구조공학, 도시계획 및 설계, 수공학, 지반공학, 환경공학의 8개 분야로 구성돼 있습니다.김호경 교수님의 연구분야는 무엇인가요? 장대교량의 ... ...
- 로봇아, 멸종위기 코모도 도마뱀을 구해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공급하는 경기로 19개 팀이 참가했다. 클라우스 디트랩 크리스텐슨 WRO 사무총장은 “대학생들의 활동을 보고 청소년들이 많은 것을 배우고 영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 성인들의 참여를 독려할 예정”이라고 말했다.FEST 창의공학교육협회 회장인 도경민 인덕대 교수는 “로봇 대회에 ...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않고 대학생활을 재미있게 하고 있다는 수리과학과 선배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도 대학에 가서 경쟁보다는 협력을 하는 공부를 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3년 뒤에는 나도 후배들에게 진심으로 도움을 줄 것이다.진짜 수학을 찾아 떠나다!이채린(광주 방림초 6학년)수학을 배우다 보면 누구나 한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남겨 19세기 최대의 수학자로 불린다. 하지만 가우스가 1807년부터 50년 간 독일 괴팅겐대학의 천문대장이었다는 사실은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1801년 이탈리아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는 작은 행성을 발견한다. 이 행성이 바로 왜소행성★ ‘세레스’다. 그런데 피아치는 세레스를 관측하던 중 태양광 ... ...
이전5045055065075085095105115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