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류현진 강속구 비결은 인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4호
덕분에 앞으로 길게 뻗은 팔에 가속도가 붙어 물체가 빠르게 날아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대학
야구 선수들이 공을 던지는 동작을 3D로 촬영하고 분석해 이런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 ...
지구사랑탐사대가 추적한 멸종위기종 수원 청개구리의 합창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4호
어떤 생물들이 사라지는지 눈이 아니라 마음으로 만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이화여자
대학
교 에코과학부 최재천 교수는 ‘알면 사랑한다’는 말을 즐겨 쓴다고 해요. 곤충이 내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한 번이라도 눈을 맞춰 본 친구들은 ‘벌레’라고 더럽게 여기거나 함부로 죽이지 않는답니다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반사할 수 있어요. 비결은 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인 ‘편광’이지요. 미국 텍사스 주립
대학
교 과학자들이 실험실 수조에서 태양 위치가 바뀌는 상황을 만들고, 저희 플루마 포기가 편광을 어떻게 반사하는지 측정했어요. 그랬더니 반사 능력이 거울보다 80%나 높았답니다.바닷물에 햇빛이 비치면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음식에 적합하는 뜻이지요.수술 돕고, 약도 만드는 3D프린터지난 5월 미국 미시간
대학
교병원에서는 3D프린터가 아기의 생명을 구했어요. 태어날 때부터 다른 장기가 기관지를 압박해 숨쉬기 어려운 아기 카이바에게, 3D프린터로 기관지를 보호해 주는 인공뼈를 만들어 줬거든요. 이 인공뼈는 옥수수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파괴되는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답니다." -용태순(연세
대학
교 의과
대학
환경의생물학교실 교수) 빨간 피를 좋아하는 친구들 이제 내가 왜 ‘살인진드기’가 아닌지 알았겠지? 우린 풀숲에 살고 있던 야생진드기들 중 한 종류일 뿐이라고!그런데 살인진드기로 오해 받아서 억울한 ... ...
명예탐정, 사라진 ‘꿀벌’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발명기자단이 손잡고 생태 연구에 뛰어 들었다. 앞으로 국립농업과학원과 이화여자
대학
교 에코과학부의 지도를 받으며 밀원식물 분포 조사 등 생태복원 연구에 앞장 설 예정이다.탐정수첩 3 스마트폰으로 흔적을 기록하라!꿀벌탐사대 현장교육에서 재빈은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바로 ... ...
흡연장면 보면 7일간 담배가 ‘땡긴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싶은 욕구는 7일 동안 유지된다.연구팀은 미국 피츠버그에 사는 18세에서 24세 사이의
대학
생 134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담배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미디어를 접하게 했다. 참가자에는 비흡연자와 부정기적, 정기적 흡연자가 모두 있었다.친담배 성향의 미디어에 한 번 노출되면 그 즉시 담배를 ... ...
과학 동아리를 소개합니다 - 정명고등학교 ‘STAR’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1학년 7명, 2학년 11명 등 총 18명의 학생들이 활동하고 있다. 정명고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대학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다. 하지만 로봇을 좋아하고 공학을 손끝으로 체험해 보고 싶었던 학생들은 수능 위주의 공부만 하는 학교생활에 목이 말랐다. 김수진 학생이 주도해 일단 ...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현대 영양학자가 권하는 것과 비슷하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도 발표됐답니다.미국 하버드
대학
교 연구팀이 벨기에에서 발견한 아기 네안데르탈인 어금니의 ‘바륨’과 ‘칼슘’의 비율을 분석했어요. 이렇게 하면 이가 만들어질 무렵에 아기가 무얼 먹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지요. 그래서 생후 ... ...
4년 만에 고향 찾은 남방큰돌고래 제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돈에 욕심난 사람들이 공연업체로 팔아넘길 수도 있어요.그래서 고래연구소와 제주
대학
교에서는 돌고래를 방류한 뒤로도 한동안 지켜보면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에요. 여러분들도 고향으로 돌아간 돌고래들이 다시 잡히지 않고 건강하게 살 수 있도록 응원해 주실 거죠 ... ...
이전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