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뉴턴의 요람을 흔드는 손
과학동아
l
201207
인기를 끌어, 일반인 대상 대회도 열렸다. 알까기의 진정한 재미는 그 속에 숨겨진
과학
원리를 알고 이해할 때 느낄 수 있다. 알까기에서는 바둑알과 바둑알이 충돌하는 다양하고 미묘한 상황에 따라 바둑알의 운명이 결정된다. 때로는 정확하게 때로는 비스듬하게 세기를 조절해서 충돌시켜야 ... ...
과학
동아로 논술과 입학사정관제 준비하기-바이러스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1207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핵산(DNA나 RNA)이 단백질 껍질에 둘러싸인 구조다. 바이러스는 생물적 특성과 무생물적 특성을 모두 가진 중간적인 존재다. 유전 물질인 핵산을 복제해 증식하며 돌연변이가 일어나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할 수 있지만, 세포로 이뤄져 있지 않아 숙주세포 밖에서는 활성이 없 ... ...
범인 잡는 미세증거물
과학동아
l
201207
않았기 때문에 범인들이 간과할 가능성이 큰 것이다.국과수 연구원이 말하다국립
과학
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의 문상옥 연구원과 김명덕 연구원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다.미세증거물을 이용 해결한 사건 중에 기억에 남는 사건은 무엇인가요?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천안함 사건이에요.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07
바뀐다. 2009년 세계 최초로 P타입 쌍성계 행성을 발견한 이재우 한국천문연구원 창의선도
과학
본부 박사는 “우리가 발견한 처녀자리 행성의 경우, 두 별이 각각 3만℃와 3000℃였다”고 말했다. 쌍성의 공전 주기와 행성의 공전 주기가 다를 때 차이는 더 커진다.이 박사는 “처녀자리 쌍성은 2. ... ...
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 생체모방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07
만나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 생체모방의 세계Part 1.
과학
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 ...
Part 1.
과학
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07
안떨어진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 생체모방의 세계Part 1.
과학
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07
기술한 교과서를 갖고 진화가 틀렸거나 상상의 산물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억지라고
과학
자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장대익 교수는 “말의 진화도 새의 진화처럼 오랜 기간을 거쳐 수많은 종이 생겨나고 사라지면서 이뤄졌다”며 “교진추의 억지 주장은 진화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07
발명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정신분열증은 디폴트 네트워크의 과열 상태최근 신경
과학
자들은 디폴트 네트워크가 뇌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있다. 즉 우울증이나 자폐증, 정신분열증 같은 뇌질환의 배후에는 디폴트 네트워크의 이상이 있다는 것. ... ...
2012 바이오 희망나눔 프로그램 “난치병 정복하는
과학
자 되세요”
과학동아
l
201207
너무 좋아서 올해 또 왔다”고 말했다.뇌를 주제로 강연한 신희섭 박사는 인기높은
과학
자답게 재미있는 강연으로 학생들을 자주 웃기며 즐거움을 안겨줬다. 특히 쥐의 뇌를 이용한 실험 동영상을 보여줄 때마다 학생들은 탄성을 많이 질렀다. 서울 중앙고에서 화학을 가르치는 진선미 교사는 ... ...
자연은 디자인이다
과학동아
l
201207
내는 걸로는 만족하지 않았다. 그래서 기능을 흉내 내는 단계까지 나아갔다. 이번 달 ‘
과학
동아’ 기획(134쪽)을 읽으면 최신 공학 역시 자연을 모범사례로 삼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기술이 자연을 모방했다는 뜻에서 ‘생체모방공학’ 또는 ‘생물모방공학’이라고 부르는 학문 분야다.이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