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07
이제 탄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중력과 바람을 계산하는 법을 알았다. 이 기사를 읽은
과학
동아 독자도 백발백중의 저격수가 될 수 있을까. 하지만 저격수가 되는 길은 아직도 멀고 험하다. 탄환은 총구를 떠나는 순간부터 공기의 저항과 맞닥뜨려야 한다. 저격수는 공기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07
미국 UC샌프란시스코 비만센터 교수와 로라 슈미트, 클레어 브린디스 박사는 지난 2월
과학
저널 ‘네이처’에 ‘당에 대한끔직한 진실’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 이들은 당이 담배와 술에 맞먹는 건강 위협 요인이며 특히 각종 식품에 들어있는 ‘가당(added sugar)’이 문제라며 좀 더 강력한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07
컴퓨터공학 분야로 전공을 바꿔 대학원 과정 진학을 고민하고 있었다. 그 무렵 전산
과학
과(현 컴퓨터공학과)에서 의료 영상 처리 분야 연구실을 지도했던 신영길 교수님께 대학원 진학 상담을 받고 교수님의 확고한 비전에 매료돼 의료 영상 처리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됐다. 의료 영상 처리 분야는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07
중 ‘지구가 멸망에 이를 수 있는 단초라고 지적되는
과학
적 발명들은 역설적으로 인류
과학
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혁신적 업적이기도 (…중략…)자칫 지구의 멸망과 관련될 수도 있는 여러분의 미래 전공에 대해 어떤 철학을 갖고 우리 대학에 지원했는지 쓰시오’를 택했다.“당연히 제가 연구할 ... ...
체험, 현장, 정리 3박자를 갖춰라
과학동아
l
201207
청소년 기자 여러분이 좋은 기사를 많이 보내주고 있습니다.정기자 선발결과는
과학
동아 7월호 본지와 홈페이지에 동시 공개합니다. ...
100년의 기다림, 금성일식 현상!
과학동아
l
201207
일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중략…) 금성 일식 현상을 경복여자고등학교 ‘지구
과학
탐구반’이 천체 관측회를 주최해 많은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관측할 수 있었다는 점이 정말 뿌듯하다. 금성 일식이 일어나는 날 망원경의 재원 설명과 태양 관측법 설명을 학생들 앞에서 했다는 점은 정말 큰 ... ...
미래에는 비밀번호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07
저절로 로그인하는 프로그램 ‘인지 핑거프린팅’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밝혔답니다.
과학
자들이 이 프로그램을 만들게 된 이유는 비밀번호가 새어 나가면 개인 정보뿐 아니라 기업이 개발한 기술이나 국가 기밀을 다른 사람이 몰래 훔쳐 볼 수 있기 때문이에요. 첫 번째 글자판을 치고 나서 두 번째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07
수도 있고, 반대로 전혀 생기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영원한 인플레이션 다중우주다(
과학
동아 5월호 기획 ‘다중우주’ 참조).우리는 이미 태어난 지 137억 년이나 되고, 상상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큰 성숙한 우주에 살고 있다. 이 우주에서 어떤 변화가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그렇게 크지 ... ...
짝짓기 하다 화석이 된 거북 커플
과학동아
l
201207
같은 일상 모습을 담은 화석은 흔치 않다. 예고 없이 갑작스레 죽어야 하기 때문이다.
과학
자들은 이번에 화석이 발견된 곳이 화산호수인 만큼 갑자기 방출된 유독가스 때문에 동물이 집단폐사 했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이 연구결과는 6월 20일 바이올로지 레터스에 실렸다 ... ...
이공주 이화여대 교수,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
과학
상 수상
과학동아
l
201207
“앞으로도 생명현상의 새로운 기본 원리를 규명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 “후배 여성
과학
자들이 더 많이 성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펠로십을 받은 김자은 교수는 새로운 암 발생조절인자와 그 기능을 연구하고 있다. 송미령 교수는 신경줄기세포에서 신경세포가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