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놀라워서 깡충! 거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말씀! 뭐가 어떻게 다르냐고? 우선 거미의 우아한 모습을 잘 보면서 곤충과 다른 점을 찾아봐! 거미는 총 4쌍의 홑눈으로 사물을 본다. 그러나 거미의 종류에 따라 눈이 퇴화되어 2, 4, 6쌍의 눈을 가질 수도 있다.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더듬이다리는 거미에게 중요한 감각기관이다. 먹이의 상태를 ... ...
- 사람의 마음, '수학공식' 으로 나타낸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도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람의 마음이나 정신을 분석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는 점이 새롭다.사실 심리학자들은 1950년부터 사람의 마음을 분석하는 데 수학적인 통계 방법을 써 왔다. 하지만 수학공식으로 사람의 기억이나 정신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여겼다. 이 때문에 ...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수학성적이 큰 폭으로 떨어져 고민에 휩싸였다. 그 원인으로 우수한 수학교사가 없다는 점을 꼽았다. 교사 월급이 적어 수학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우수한 성적의 수학과 졸업자가 없다는 뜻이다. 스웨덴에는 교사를 양성하는 사립대학교가 따로 있지 않아 대학에서 교사연수프로그램을 이수하면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만일 그렇다면 둘레의 길이가 같음은 바로 확인되고,원의 중심에서 각각의 꼭짓점을 연결한 이등변삼각형으로 쪼개는 것을 생각하면 이 이등변삼각형들의모임 역시 빨간 다각형에서와 파란 다각형에서 서로 집합적으로 일치하므로, 총넓이가 같음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 보이도록 ...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조합은 난도가 높은 문제에서 비둘기집의 원리(2010년, 2009년), 포함배제 원리(2009년), 점화식(2010년, 2009년)이 자주 활용되는데, 올해는 이런 원리를 이용한 문제가 없었다.전체적으로 조합 문제는 난도가 낮았다. 고교 과정에 나오는 순열과 조합이나 정수의 성질을 이용한 조합문제, 고교 과정에서 ... ...
- PART 2 최다득표자라도 꼴찌가 될 수 있다?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의회 선거에서도 이미 사용하고 있다. 결과를 계산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은 제작진의 몫에 맡긴다.아무튼 완벽하게 공정한 투표방식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니 제작진이 공정성을 확보한 최선의 투표 방식을 택했다고 생각한다면 그때부터는 프로그램을 즐기는 게 맘 편하다. 나가수의 ... ...
- [수학동아, 도서관에 가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수학동아 l2011년 06호
- 4가지 색을 이용해야 했어요. 서예찬(서울 개운초 3년) 학생은 직접 색칠하면서 깨달은 점을 발표했어요.“3가지 색으로 칠할 수 없는 지도를 살펴보니, 어떤 한 지역을 빙 둘러싸고 있을 때, 둘러싸고 있는 지역의 개수가 짝수라면 3가지, 홀수라면 4가지 색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이는 ...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대칭’ 이라는 것을 반드시 기억해 두세요. 주어진 그래프를 관찰해대칭축과 꼭짓점을 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최댓값과 최솟값으로 연결돼 고등학교 과정으로 확장되는 발판 역할을 하거든요. 그래프를 얼마나 잘 해석하느냐에 따라 여러분의 수학 실력이 확~ 차이가 날 겁니다. 이번 기회에 ... ...
- PART 1 오디션에 숨어 있는 3가지 수학수학동아 l2011년 06호
- 멋진 공연과 좋은 컨디션을 유지해야 하지만 점수는 매번 다르다. 매번 바뀌는 합격점을 넘는 것이 중요할 뿐이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최종 결선은 결국 퍼지이론으로 설명할 수있다 ...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수학동아 l2011년 06호
- 점으로 이뤄진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어. 그러면 n번째 삼각수는 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점의 개수의 절반인 n×(n+1)/2 이라는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단다.이번 여행 어땠니? 이제 6에 대해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지. 숫자가 너무 흔하게 쓰이다 보니 숫자를 봐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 ...
이전5025035045055065075085095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