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구조를 이용하면 아름다우면서도 재료를 최소화해 경제적이고 구조가 튼튼하다는 장점이 있다.필즈상도 비눗방울을 좋아해? 1930년 1회 필즈상 수상자 2명 중 1명인 제시 더글라스(사진)는 비눗방울 연구자다. 그는 비누막 연구에서 중요한 업적을 세워 1회 필즈상을 받았는데, 닫혀 있는 철사 ...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선분 AC의 중점을 M이라 하자. 그리고, M을 지나 DB에 평행인 직선이 꺾은선 ABC와 만나는 점을 N이라 하자. N이 선분 BC 위에 있다고 해도 일반성을 잃지 않는다. 그럼 |△DMB|=|△DNB|이므로|ADNB|=|ADMB|=1/2|ABCD|이고, DN이 원하는 직선이다.넓이를 이등분하는 꺾은선을, 등적 변형을 이용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추상화할 수도 있다. 어린아이라 할지라도 기호나 문자로 된 상징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물과 다른 능력을 보이는 것이다.어미 원숭이 한 마리와 새끼 원숭이 한 마리가 있을 때, 둘은 서로 다른 대상이지만 각각 한 마리로 추상화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에 셈한 결과 두 마리라는 사실을 ... ...
- 인류조상, 40만 년 전에 불 사용?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가열된 돌과 나무 그릇을 비롯한 그을린 나무 등 불을 사용했다는 것을 말해 주는 총 119점의 증거를 발견했지요. 그리고 이 유적은 모두 네안데르탈인의 주거지였던 것으로 조사됐어요. 연구진은 만일 이번 연구가 옳다면, 현생 인류의 조상이 어떻게 추운 유럽에서 불도 없이 살아 남았는지 더 밝혀 ... ...
- 빛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기적의 안경!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있게 해 주는 수준이랍니다. 아주 흐릿하게 세상을 보여 주는 셈이에요. 하지만 60개의 광점으로도 눈앞에 누군가가 움직인다는 정도는 알 수 있답니다.그것만으로도 대단해요! 원리가 도대체 뭔가요?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들은 먼저 눈 안쪽의 망막에 미세한 60개의 전극을 심는 수술을 해야 해요. ... ...
- '정육면체'로 평면을 채울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7호
- 거실의 카펫,벽지나 보도블록에서 볼 수 있다. 평면을 빈틈없이 가득 채우려면, 우선 한 점에 모이는 각의 크기가 언제나 360°가 돼야 한다.색종이를 이용해 평면 채우기를 하기 가장 쉬운 도형은 색종이 모양 그대로 이용하는 정사각형이다. 그렇다면 종이접기만을 이용해 정삼각형 또는 정육각형을 ... ...
- 미래도시가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재료를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삼각형 형태로 배열해 힘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달에 있는 재료로 만드는 달 도시달 표면에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건설에 필요한 재료를 달 자체의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 일본 시미즈 건설회사는 달에서 캐낸 자원으로 콘크리트를 만들어 도시를 ... ...
- 수학과 물리학이 만나 우주 생성 비밀 밝혀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입자가 나타난 뒤 상변환을 통해 질량이 있는 입자가 생겼다고 설명한다. 상변환은 끓는점에서 액체가 기체로 바뀌는 것처럼 물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조용승 교수는 “수학자와 물리학자가 만나 5년간 함께 연구한 결실”이라며 “앞으로 이 이론을 활용해 초기 우주 모형을 완성할 ... ...
- 북두칠성처럼 여름밤을 밝히는 행운의 수 7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도착점은 어디가 돼야 할까? 그렇지. 바로 홀수점인 점 A와 점 D 중에서 출발점과 도착점을 선택하면 되는 거야. # 어때? 이번 여행에서 나 7에 대해 더 잘 알게 됐니? 비록 우리의 여행은 여기에서 끝이 났어도 숫자 7인 나를 항상 기억해주길 바래. 달력을 보거나 하늘의 천체를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심도가 얇다.F 값이 작은 상태에서 찍어 초점이 원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초점이 맞지 않은 것이다. 이것을 ‘아웃포커싱 기법’이라고 한다. 반면 오른쪽 사진은 심도가 깊다 ... ...
이전4984995005015025035045055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