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03
경우를 대비해 더 오래 머무를 수 있는 거처를 마련하는 훈련이다.고 씨는 “수년 전 한
미국
우주인이 생존훈련을 받을 때 인디언텐트를 처음 지었는데 그 쓸모에 감탄한 러시아 측이 이를 아예 훈련프로그램에 넣었다”고 배경을 소개했다.길이가 3m 쯤 되는 나무 몇 그루를 베어와 텐트의 뼈대를 ... ...
“파란색을 못 봐요~!” 딱정벌레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곳에서 살아가는 딱정벌레는 파란색을 구별하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웨인주립대학교 연구팀은 어두운 곳에서 살아가는 습성이 있는 붉은 밀가루딱정벌레의 시각을 연구했어요. 그 결과 다른 곤충들이 자외선을 포함해 파란색과 붉은색을 구별하는 데 비해, 이 딱정벌레는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높은 전압을 가진 정전기를 만나면 어떻게 될까요? 맞아요. 불이 나게 된답니다.”
미국
에서는 정전기 때문에 한 해 동안 1000건이 넘는 화재 사고가 일어났고, 우리나라도 2006년에 일어난 주유소 화재 사건 가운데 40%가 정전기 때문에 일어난 거라고 한다. 닥터고글의 명쾌한 설명 앞에 꿀 먹은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02
양성자가 장 세포와 주변 근육 세포 사이에서 신경전달물질처럼 매개 역할을 한다고
미국
유타대 뇌과학연구소 에릭 조르젠슨 교수팀이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1월 11일자에 발표했다.조르젠슨 교수팀은 기생충의 일종인 ‘예쁜꼬마선충’이 배설하는 도중 장 세포에서 주변 근육세포로 ... ...
주사바늘의 고통이여, 안녕~!
과학동아
l
200802
아프지 않은 주사바늘이 개발됐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의 로저 나라얀 박사팀은 기존 주사바늘보다 훨씬 작아 피부의 통증신경을 자극하지 않는 미세주사바늘을 개발했다고 국제저널 ‘응용세라믹기술’ 1월 7일 자에 발표했다.주사바늘의 고통과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것은 모든 환자와 ... ...
블루 다이아몬드, 붉은빛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802
세계에서 가장 큰 블루 다이아몬드이면서 추정가 2000억 원으로 세계 최고가의 보석이다.
미국
스미스소니언 자연사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호프 다이아몬드는 사람들이 잘 모르는 신비를 지니고 있다. 즉 자외선을 비추면 어둠속에서도 몇 분 동안 붉은 인광(phosphorescence)이 나오는 것. 인광은 빛을 ... ...
해충 바퀴가 해충 제거에 유용
과학동아
l
200802
데 유용한 익충으로 사랑받게 될지도 모른다.지난 1월 7일
미국
사이언스데일리는
미국
농업연구청 곤충학자 밥 판넨스틸이 바퀴벌레가 콩과 목화의 잎을 공격하는 해충의 알을 먹어 치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보도했다.판넬스틸 박사는 수년간 나비목 해충들의 알을 먹는 포식자에 관한 연구를 ... ...
근육이 내는 소리로 질병 진단
과학동아
l
200802
소리를 측정하면 근육의 상태를 알 수 있고 나아가 건강 상태도 진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미국
의 과학잡지 ‘아메리칸 사이언티스트’ 1·2월호에 발표했다.사브라 교수팀은 건강한 성인 남성의 넓적다리 피부에 소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16개를 1.3cm 간격으로 부착했다. 그 뒤 실험자의 무릎 위에 ... ...
사형용 '죽음의 칵테일' 시험대 올라
과학동아
l
200802
화석거상(化石巨象)1927~
미국
의 생화학자 플로리다 대학, 미시간 대학 졸업 후 1957년
미국
립보건연구원(NIH)에 들어갔다1961년에 시험관 내에서 단백질 합성에 성공하여 유전정보 해독에의 생화학적 접근의 길을 열었다1964~65년에는 H G 코라나(Khorana)와 협력하여 64가지 트리뉴클레오티드를 합성하고,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2
또 다시 소설속의 소년처럼 무지개를 찾아 헤맨다. 왜 그럴까?사람은 타고난 낙관론자
미국
뉴욕대 심리학과 엘리자베스 펠프스 교수팀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뇌는 행복한 미래를 꿈꾸게 만들어졌다고 한다. 사람은 대책 없는 낙관론자인 셈이다. 많은 사람들이 별다른 근거도 없이 자신은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