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 물고기 '캐스퍼' 탄생
과학동아
l
200803
0월 일본에서 의학용 투명 개구리가 만들어진 데 이어 이번에는 투명 물고기가 탄생했다.
미국
보스턴어린이병원 줄기세포프로그램 연구팀의 리처드 화이트 박사는 몸 속이 훤히 보이는 제브라피시(사진)를 만들어 생명과학분야 국제저널인 ‘셀 스템셀’ 2월호에 발표했다.인간의 질병을 연구하는 ... ...
최초의 박쥐는 레이더 없이 날았다
과학동아
l
200803
초음파 발생 능력은 없었다고 ‘네이처’ 2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2003년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발견된 고대 박쥐 ‘오니코닉테리스 피네이’(Onychonycteris finneyi)의 화석을 조사한 결과 날개는 있지만 초음파를 낼 수 있는 기관은 없었다.어둠 속에서 날아다니는 박쥐는 초음파를 쏴 물체를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03
대부분은 피부호흡이 곤란해지며 대사활동이 저하되고 결국 죽음에까지 이르는데 1991년
미국
의 한 동물원에서 사육되던 개구리와 1993년 호주의 야생개구리에서 처음 발견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1997년 파나마에서 황금개구리가 거의 멸종에 이르게 된 것과 호주의 양서류 멸종 원인이 이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03
지난해 6월 포르투갈에서 열리는 국제헬스케어심포지엄 참여 여부를 고민했다. 2006년
미국
에서 열린 국제약대학생연합동아리(IPSF)에서 만난 친구가 추천한 행사다. 일반인에게 약의 올바른 사용법을 어떻게 알릴지 고민하는 장이다. 희원 양은 보건약학의 해외 동향도 알 수 있을 것 같아 학교 ... ...
PART2 플라스틱 공화국의 재활용 비법
과학동아
l
200803
있다.세계 1위의 플라스틱 생산국인
미국
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대부분 매립한다. 하지만
미국
처럼 넓은 매립지를 확보할 수 없는 국가들은 철저한 플라스틱 재활용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독일과 스위스는 버려진 페트병으로 다시 페트병을 만드는 ‘병에서 병으로’(bottle to bottle) 정책을 오래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03
1kg을 태운 소각재 속에는 약 30g의 염소 성분이 포함돼있는데, 이는 일본의 2배 수준이며
미국
과 유럽의 최대 7배에 이른다.분리되지 않은 채 버려지는 플라스틱도 소각재 속 염소 함량을 높인다. 예를 들어 전선이나 튜브, 호스를 이루는 PVC는 폴리염화비닐이라는 정식명칭에서 보듯 염소가 들어있는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03
착안했다. 때로는 미소를 머금기도 하고 가끔은 페이소스에 가슴이 뻐근해진다. 처음
미국
생활을 하는 주인공은 (아직 이름도 없다!) 30대 초반이지만 이미 10여년을 연구에 헌신한 나머지 머리도 많이 빠지고 몸도 펑퍼짐하다. 첫 회는 실험하다 때를 놓쳐 혼자 햄버거 가게에 갔다가 말이 안 통해 ... ...
여성의 남성 취향도 유행타나?
과학동아
l
200803
취향도 유행이 있을까. 최근 새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그럴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생태학·진화생물학과 브루스 라이언 교수팀은 들판에 사는 멧새류인 ‘라크 번팅’(lark bunting)의 암컷이 짝짓기 상대로 수컷을 고를 때 선호도가 매년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해 ... ...
토성 위성 타이탄은 에너지 '노다지'?
과학동아
l
200803
메탄으로 이뤄진 두꺼운 대기에 가려 표면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지 못했다. 지난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토성궤도 탐사선 카시니에서 분리된 소형 탐사선 호이겐스가 타이탄의 대기를 뚫고 낙하하며 찍은 사진으로 대략의 지형을 추측해 왔을 뿐이다.이번 발견은 로렌츠 박사팀이 카시니가 ... ...
북극곰의 위기
과학동아
l
200803
지난 여름
미국
지질조사소의 과학자들이 북극곰의 서식지인 해빙을 조사한 결과 그 면적이 지속적으로 줄었다. 이대로라면 현재 1만 6000~2만 마리 정도인 북극곰 수가 2050년에는 3분의 2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
이전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