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양
해양
망망대해
바다
원
원양
넓은 바다
d라이브러리
"
대해
"(으)로 총 8,188건 검색되었습니다.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분자수준에서 일주기리듬의 작용방식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이는 생물이 외부 환경에
대해
단지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는 의미다.처음으로 시계유전자의 존재가 밝혀진 시기는 1970년대 초. 초파리의 변태가 일주기성을 갖는다는 사실에 미 캘리포니아공대 대학원생 론 코놉카는 획기적인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그레고리 바시 교수는 “우리는 아직까지 피부색을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구성에
대해
거의 아는 바가 없다”고 말한다. 다만 최근의 연구 결과 피부색의 발현에는 생각보다 적은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피부나 눈, 머리카락의 색은 멜라닌이라는 색소가 있기 때문이다. 멜라닌은 ... ...
2003년 최고 발견은 암흑에너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존재를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12월 12일 유럽우주기구(EAS)는 암흑에너지의 존재에
대해
부정적인 관측결과를 발표했다. ESA는 8개의 은하단이 내뿜는 X선의 에너지와 양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우주에는 물질이 밀도가 매우 높아 암흑에너지가 있을 공간이 없다.암흑에너지에 이어 과학계 2위 뉴스는 ... ...
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에 쫓기듯 살아가고 있지만 누구나 시간의 본질에
대해
알고 있지는 않은 듯 싶다. 시간의 기원에서부터 시간여행, 시분초와 달력, 원자시계, 생체시계, 그리고 심리적 시간까지 그 본질을 파헤쳐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존재하는가?시작이 있으면 끝도 있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시간의 끝은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조용민 교수는 “현재의 우주가 어떠한지를 통해 추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주는 팽창하고 있다고 했다. 문제는 앞으로 팽창을 멈추고 다시 수축할 것인가, 아니면 팽창을 계속할 것인가다. 최근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뇌 측두엽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은 기억상실증 환자를 대상으로 기억과 시간의식에
대해
조사했다. 기억이 입력되는 부분인 해마가 손상된 환자는 1분 이상의 기억을 유지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은 정보를 학습해 새로운 기억으로 저장하지 못하는 전향성 기억상실증을 보인다. 그러나 ...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대한 연구를 피할 수는 없다. 우리가 남극을 계속 연구하려면 위험한 점들을 알아서 이에
대해
충분히 대비해야 할 것이다.이런 점에서 세종기지에서 일어난 안타까운 사고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가르친다. 그 가르침을 잘 배워, 다시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살아남은 우리가 할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집에서 사육하는 야생동물의 유통은 허가하기로 방침을 바꾼 것이다.이런 조치에
대해
세계보건기구(WHO) 관계자들은 경악속에 우려를 감추지 못하고 있다.올 겨울 만일 사스가 또 다시 등장한다면 사스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는 집고양이들도 수난을 면키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번 연구에서 보면 ... ...
통증에 대한 뇌 반응 남녀 달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남성은 분석중추인 인식기능 부위에서 각각 활발한 반응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대해
낼리보프 박사는 “성 역할이 지금보다 훨씬 더 나눠졌던 원시시대 남녀의 스트레스 반응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즉 남성은 위험한 상황에 처했을 때 싸우느냐 아니면 도망치느냐의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움직이지만 우리가 느끼기에는 마치 별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이것은 천구에
대해
달이 움직이는 상대 속도인데 의외로 빠르다는 사실을 실감할 수 있을 것이다.서서히 달에 접근하던 별은 달의 동쪽편인 밝은 부분으로 잠입해 사라진다. 약 1시간 뒤인 6시 30분 경이 되면 달의 어두운 부분인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