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스페셜
"
한계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의 잘못 인정할 줄 알아야 '진짜어른'
2023.09.30
수 있는 세계의 양은 매우 한정적이다. 나의 지식 또한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자신의
한계
를 인정하고 나와 다른 사람들을 통해 배우는 것만이 조금이나마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이라는 사실을 기억하자. Alex C. Huynh & Rosalva A. Romero Gonzalez (2023) The fine line between intellectual humility and ... ...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수밖에 없다. 과거 한국연구재단이 무리하게 밀어붙였던 박사후연구원 지원 사업의
한계
를 벗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 외국의 대학‧연구기관에게 예산을 퍼주는 것도 모자라 특허권까지 넘겨주겠다는 전제로 시작하는 국제협력은 반드시 실패할 수밖에 없다. 기초연구와 출연연 예산을 줄여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이 약은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을 뿐 말라리아 성충이나 유충을 죽이지는 못하는 것이
한계
라 할 수 있다. 살바르산 606. 위키미디어 제공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으로 처음 개발한 것은 살바르산 606이다. 1910년에 독일의 에를리히(Paul Ehrlich)가 개발한 이 약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381-382 3. 스티븐 존슨. 감염지도. 김영남 역. 김영사. 2008 4. 에드워드 골럽. 의학의 과학적
한계
. 예병일 등 역. 몸과 마음. 2001 예병일 연세대원주의대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관심도 찾아볼 수 없다.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제로베이스 제검토는 관료주의의
한계
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예산 삭감의 원칙이 도무지 분명치 않다. 과기정통부가 느닷없이 강조하고 있는 ‘국제협력’의 실체도 오리무중이다. 해외에서 세계 최고를 이뤄내는 현장을 ‘체화’해야 한다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의미가 없는 ‘괴담’으로는 소비자와 국민을 안심시킬 수 없다. 현대 과학의
한계
를 넘어서는 엉터리 정보도 경계해야 하지만 현대 과학으로 모든 위험을 예방할 수 없다는 패배주의도 설 자리가 없다. 현대 사회에서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정보원’과 정보를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있기 때문에 옥시토신 관련 신호체계가 나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러한 시간적
한계
성이 정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특정 시기에만 학습되거나 습득되는 기능의 추가 예시로는 일부 감각기능의 발달 과정에서도 볼 수 있다. 정상적인 시각 신경계의 발달은 태어나자마자 눈을 통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많이 사용한 예가 있는지 의문일 정도로 흔히 사용하고 있다. 그런 분들이 과연 과학의
한계
를 알고 하는 이야기인지 의문을 가지지 않을 수 없다. 방사성 동위원소를 연구하여 노벨상을 수상한 퀴리 부인과 그 딸은 방사성 동위원소 연구에 혁혁한 공을 세웠지만 방사성 동위원소의 부작용을 제대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된다'는 전문가의 주장은 매우 조심스러운 것이다.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검출
한계
이하일 경우에는 ‘흘러오지 않는다’는 일상적인 표현이 더 적절한 것이다. 후쿠시마 앞바다에 버린 1조 개의 페트병 중에서 1개가 제주도로 흘러온다고 해서 후쿠시마의 오염물질이 제주도로 ‘온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의 도전과
한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수 없으며, 감정을 느낄 수 없고, 창조할 수도, 추론할 수도 없다"며 "하지만 AI는 인간이
한계
를 뛰어넘어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으며 그 핵심은 AI의 위험보다 이익이 크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