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스페셜
"
한계
"(으)로 총 1,00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여름방학 맞이 프로그램 개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확인하면 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8일 엘타워 루비홀에서 '
한계
도전 연구개발(R&D) 프로젝트' 사업의 2024년 신규과제 킥오프(Kick-off) 행사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6월말 선정된 12개 연구팀에게 이 사업의 취지와 추진 방향을 공유하고 협력 네트워크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한계
라는 뜻이다. 아무도 책임질 수 없는 '미완성의 미래 디지털 기술'이 가지고 있는
한계
에 의한 '디지털 속임수'에 우리 학생의 교육을 무방비 상태로 내던져버릴 수는 없는 일이다. 물론 교육이 새로운 기술을 의도적으로 외면할 이유는 없다. 그렇다고 '미완성의 새로운 기술'까지 무차별적으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한다. 이들에 의하면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이 주는 행복에는
한계
가 있어서 친구들 중 50% 정도만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로 채우고 나머지 50%는 자신과 다른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로 채우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을 가져다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 연구자들은 모두가 비슷비슷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를 듣도 보도 못한 '학년제'로 변경하도록 대학에 공문으로 '지시'한 것은 명백하게
한계
를 넘어선 것이다. 모두가 듣도 보도 못한 교육부의 새로운 규제가 만들어내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일이다.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에게 따뜻해야 타인도 보듬는다
2024.05.04
보이곤 한다. 반면 높은 자기 자비를 보이는 사람들은 애초에 자기 자신을 포함
한계
가 많은 인간에게 비현실적인 기대를 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상대의 실수나 잘못에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과대 해석하며 호들갑을 떨거나 '원래 그것 밖에 안 되는 사람'이라며 쉽게 판단하는 일을 잘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과학소통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은 27일부터 ‘인간 그 너머, 미지와
한계
에 도전하는 과학기술’이란 주제로 과학소통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강연은 4월부터 11월까지 총 8회 내외로 운영된다. 이달 27일 진행되는 첫 번째 강연에서는 뇌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과의 전쟁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4.04.17
바뀐 변이 라스 단백질(KRAS-G12C)의 비활성 상태(inactive)에만 작용해 묶어둔다는
한계
는 있지만 큰 진전이다(왼쪽). 최근 미국 회사 레볼루션메디슨은 CYPA 단백질을 끌어들여 변이 라스 단백질의 활성 상태(active)에 붙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분자(effector-protein)의 접근을 막아 세포 증식(cell proliferation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산호초로 보는 엘니뇨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24.02.04
사이언스 6682호 표지. 사이언스 제공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주 표지로 동태평양에 나타난 엘니뇨의 징후를 보여준다. 2023년 12월 엘니뇨 현상으로 동태평 ... 해류 순환을 통해 지구 온도 편차를 줄이는 '해류의 순환벨트'가 약화됐을 때여서 분석 결과에
한계
가 있다고 지적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은 진전 안되고 피곤하다면
2024.01.27
못 냈을 어마어마한 양의 운동을 해내서 놀라웠던 적이 있다. 어차피 인간의 주의력에는
한계
가 있으므로 길고 느슨하게 무언가를 하는 것보다 짧은 시간 동안 최대한 집중력과 에너지를 끌어내는 방법이 더 실천 가능하고 효율도 좋은 것 같다. 그렇다고 매번 최대 출력으로 사는 것도 피곤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뛰어난 공격수인 건 아니다. 기대득점 값이 작으면 아무리 결정력이 좋아도 득점에
한계
가 있기 때문이다. 기대득점은 주변 선수들의 도움뿐 아니라 위치 선정 등 본인의 능력에 좌우된다. 물론 포지션도 중요해 중앙공격수가 유리하다. 기대득점과 골 결정력 둘 다 높은 대표적 공격수가 해리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