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소개
스페셜
"
자신소개
"(으)로 총 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성공, 행복하고 정상적인 삶에 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기업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은행을 찾아가듯이 연구자들도 실험에 필요한 연구소재를 구하기 위해 찾는 곳이 있다. 바로 연구소재은행이다. 이연희 연구소재중앙센터장은 이들 연구소재은행의 '총 ... ...
알지 못하던 찰나를 보는 레이저 과학
IBS
l
2014.06.10
머리에 깃을 동여맨 고구려 무사가 말에 탄 채로 활을 당기고 있다. 한껏 당긴 시위는 사슴과 호랑이를 겨누고 있다. 잠깐 사이에 저 무사들은 힘들게 잡은 사냥감을 들고 의기양양하게 개선할 터다. 무용총 벽화는 전성기 고구려 미술의 대표작으로 손꼽히곤 한다. 이 작품에서 눈여겨볼 곳이 있 ... ...
리니지로 온라인 게임 시대를 열다
KAIST
l
2014.05.26
이번 진로 가이드에서는 엔씨소프트의 상무직을 맡은 심민규 상무를 인터뷰했다. 심 상무는 1998년도부터 출시된 국내 온라인 게임 ‘리니지’의 탄생부터 현재까지 약 15년을 함께한 인물이다. 리니지는 역대 최고의 MMORPG 게임으로 손꼽히며, 수많은 유저로 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아온 게임이다. 실 ... ...
“새로운 교육플랫폼을 만들고 싶습니다”
KAIST
l
2014.05.15
누구나 한 번쯤은 창업에 성공해 한 회사의 CEO가 되는 꿈을 가져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 꿈은 보통 언제쯤 현실로 옮기는 것이 좋을까? 30대 초반이나 후반? 이제는 열정과 톡톡 튀는 아이템만 있다면 지금 바로 시작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24살이라는 나이에 학부생의 신분으로 어엿한 한 ... ...
[재미있는 특허이야기]실패한 풀의 화려한 재탄생, ‘포스트잇’
KOITA
l
2014.04.10
“붙었다가 떨어지는 접착제를 어디에다 씁니까?” 1968년, 화학제품과 의료기를 만들던 미국의 3M에서 새로운 접착제가 발명됐다. 스펜서 실버(Spencer Silver) 박사가 개발한 것인데, 종이에 발라도 스며들지 않고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었다. 그런데 이 접착제를 본 동료들의 반응은 썰 ... ...
[keyword로 읽는 과학] 소시오패스, 누구냐 넌?
KISTI
l
2014.02.14
소설 속의 유명 탐정 ‘셜록 홈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영국 드라마 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드라마에서 홈즈는 뛰어난 추리력을 갖고 있지만 성격이 괴팍하고 별나 주변 사람들에게 인기가 없다. 한 예로 홈즈로부터 무시당한 한 법의학자는 그를 ‘사이코패스(psychopath,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하루키 열풍이 강타하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이 다시 한 번 출판계를 강타하고 있다. "역시 하루키"라는 탄사가 절로 나온다. 신작 는 전작 이후 3년 만에 발표한 장편소설이다. 일본에서 50만 부라는 초판 발행량으로 놀라게 하고 출간 ... ...
“나노기술은 창조경제에 가장 적합”
동아사이언스
l
2013.09.13
김종대 ETRI 전략기획본부장 - ETRI 제공 “미세가공기술로 대표되는 나노기술만으로는 2015년 세계 시장 1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나노 시장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물질의 원자나 분자 구조를 바꿔 새로운 특성을 발현시키는 기술에 매진해야 합니다. 바로 ‘바텀업’ ... ...
미래 보건의료산업
KOITA
l
2013.08.09
세상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발전 속도에 가속이 붙는 현상은 보건의료분야에서도 그대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로 단위를 넘어서 나노 단위 물질을 진단에 이용하게 되고, 인체의 형태를 3차원으로 보여주는 영상술은 기능까지 알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유전자치료와 세포치료의 개발은 ... ...
새로운 나노 연구 분야에 꾸준히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제원호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 “현재 우리나라는 후발주자로 시작해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린 연구는 많지만,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는 연구는 거의 없습니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발주자형 연구를 개척해 전 세계를 이끄는 위치로 발돋움해야 합니다.” 제원호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는 고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