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산학"(으)로 총 4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동아사이언스 l2013.04.29
-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이상기 교수의 ‘이것만은 꼭!’ △바이오 인재 양성을 위해 산학연 함께 나서야 △창조경제의 새 힘은 바이오산업 △의사들이 의생명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개발 이상기 교수는 1975년 서울대 미생물학과 학사 1977년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0년 KAIST ... ...
- 13년 대덕연구개발특구 사업설명회 개최동아사이언스 l2013.04.24
- ‘13년도 대덕연구개발특구육성 사업설명회가 16일(화) 14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층 회의실에서 산학연 등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ㅇ 올해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연구기관 우수기술 사업화 및 연구소기업과 벤처기업활성화, 창업촉진 등을 위하여 347억원의 예산이 ... ...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3.01.28
- 구축된 생명공학 인프라를 바탕으로 대학과 기업과 연계해 모두가 ‘윈(Win)’할 수 있는 산학연 협력의 구심체 역할을 도맡겠습니다.” 오태광 원장의 ‘이것만은 꼭!’ △국가 출연연인 생명연이 바이오 정책의 구심점 돼야 △세계적 전문연구소 세우고 예산도 집중해야 △잘 하는 연구에 집중해 ... ...
- “산학연 포괄 지원 있어야 바이오산업 성공한다”동아사이언스 l2012.06.26
- 대비 13% 이상 늘어난 액수다. 기업과 대학, 출연연의 공동연구개발사업을 지원하는 ‘산학연협력기술개발’ 사업에 투입하는 예산은 그 중 1300억 원 정도다. 물론 생명과학기술로 벤처기업 등을 운영하고 싶은 기업인이나 과학기술자에게도 지원한다. 양 국장은 “기술혁신국에서는 개별기술, ... ...
- “한반도의 배꼽, 동북아 제일의 바이오 허브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2.03.19
- 중인 것도 이런 차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BT대학원과 산학융합지구 거점대학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며 “기관‧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오송 CEO 포럼’도 운영하고 있는데, 모든 입주기관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충북은 201 ... ...
- “바이오도 양보다 질로 K-POP처럼 세계 흔들어야"동아사이언스 l2011.12.05
-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바이오 분야 중복 사업 너무 많다 산학연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패널들은 ‘생명과학’, ‘보건의료’, ‘농림수축산·식품’, ‘산업공정/환경·해양’, ‘바이오 융합’ 등 5개 분과로 분류돼 각각 수행되는 사업들이 많고 분야간 융합도 ...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동아사이언스 l2011.07.20
- 정보가 더욱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한인 네트워크들이 한국의 모든 산학연 기관과 자유롭게 교류하는 수준으로 올리는 게 센터의 목표”라며 “활발한 소통을 위한 정책과 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동아사이언스 l2011.04.05
- 육성을 위한 기금을 마련하는 것도 방안이 될 수 있다. ▽브라이언김(셀트리온)=긴밀한 산학연계가 중요하다. 학생들이 자기가 공부한 분야가 어떻게 응용되고, 그 결과로서 산업적으로 어떤 제품이 나오는지 체험하게 해야 한다. 거기에서 연구자로서 보람을 찾을 수 있다. ▽강수형(동아제약) ...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0.08.24
- 2006년 3월 LG생명과학 기술연구원장(부사장) 2006년 8월 ~ 2007년 10월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산학협력 전담 교수) 2007년 11월 ~ 현재 21세기 프런티어 연구성과지원센터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2010.02.09
- 분자생명과학부 교수 - 1994년~1998년 이화여대 기초과학연구소 소장 - 2005년~2008년 서울시 산학연협의회 회장 - 2008년~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2008년~현재 기획재정부 재정정책심의위원회 위원 - 2009년~현재 기초기술연구회 이사 - 2010년 1월~현재 한국기술혁신학회 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 ...
이전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