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스페셜
"
미디어
"(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노벨상도 혁신이 필요하다
2023.10.11
브러스(미국)가 화학상을 수상했다. 2023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카타린 카리코 . 위키
미디어
제공 ● 전통을 이어가는 ‘헝가리 현상’ 헝가리 출신의 과학자 2명이 수상자로 선정된 것이 눈길을 끈다. 사실 헝가리는 노벨상 강국이다. 음극선관의 특성을 밝혀낸 필리프 레나르트가 1905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의학이 발전할수록 질병도 발전한다
2023.10.08
의학 발전이 질병 발전을 야기한다는 것은 무슨 뜻일까. 라지오넬라 감염병. 위키
미디어
제공 ● 세상의 발전이 질병의 원인이 되는 예 원시시대에는 교통사고가 없었다. 굳이 있다면 걷다가 넘어져 부상을 입거나 동물을 사냥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뛰어가다가 넘어져 부상을 입는 경우 정도였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말라리아 성충이나 유충을 죽이지는 못하는 것이 한계라 할 수 있다. 살바르산 606. 위키
미디어
제공 감염병을 치료할 수 있는 약으로 처음 개발한 것은 살바르산 606이다. 1910년에 독일의 에를리히(Paul Ehrlich)가 개발한 이 약은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얻은 약이므로 최초의 화학요법제에 해당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많이 생각하게 되고 쉽게 떠오르는 만큼 이를 ‘사실’로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각종
미디어
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언급이 많아진 것이나 직접 체감하게 된 빈도가 늘어난 것이 기후 위기를 더 현실로 느끼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현실을 직면하고 분노와 절망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백신을 개발하기 위해 뛰어드는 일이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로베르트 코흐. 위키
미디어
제공 ● 감염병의 원인은 현미경으로만 관찰가능한 작은 세균임을 증명한 코흐 프랑스에서 파스퇴르가 미생물의 존재를 눈치채고 이에 의한 감염병 해결용 백신을 제조하고 있을 때 독일에서는 코흐(Robert ... ...
[사이언스게시판] 챗GPT부터 수소기술까지…'UST 테크놀로지 리뷰' 최신판 발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7.26
과학문화 프로그램을 체험하게 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룩셈부르크
미디어
통신부와 한-룩셈부르크 간 양자과학기술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국은 이번 양해각서를 통해 양자과학기술 분야에서 연구개발, 전문인력 개발, 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 표준화, 정책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과학적'이라고 모두 '진리'는 아니다
2023.07.25
연구에 혁혁한 공을 세웠지만 방사성 동위원소의 부작용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 위키
미디어
제공 ● 과학의 한계가 과학 발전을 자극한다 과학적 접근방법은 특정 사안에 대해서 판단 기준을 마련할 때 아주 유용한 방법이다. 그래서 그런지 정치권에서 “과학”이라는 용어를 지금처럼 많이 사용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더 신경을 써야 한다는 점잖은 충고의 목소리도 들린다. 가짜과학의 원조 육각수. 위키
미디어
제공 ● 가짜 과학에 찌든 사회 우리에게 엉터리 ‘가짜 과학’(fake science)은 결코 낯선 것이 아니다. 모두가 국민 건강·안전과 국가 경제를 떠들썩하게 앞세운다. 그러나 사실은 눈앞의 이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분류된다는 뉴스가 화제다. 위키
미디어
제공 최근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이 발암물질로 분류된다는 뉴스가 화제다. 설탕보다 200배나 더 달다는 아스파탐은 뒷맛이 쓴 사카린 등과는 달리 단맛의 질이 좋아 가장 널리 쓰이는 인공감미료다. 분자 구조도 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
2023.07.11
한 가지 중요한 이유가 된다. 멧돼지가 사람의 공간으로 쳐들어오기 시작했다. 위키
미디어
제공 ● 멧돼지와 사람이 마주치는 이유 최근에 뜸한 듯하지만 멧돼지의 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은 수시로 전해지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감염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