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dia
매체
Media
스페셜
"
미디어
"(으)로 총 481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통증 줄이는 마취제 250년 전부터 나왔다
2024.04.28
마취제가 수술을 쉽게 해 줄 것'이라는 말을 남기고 은퇴를 했다. 클로로포름. 위키
미디어
제공 ● 클로로포름의 등장 리스턴의 에테를 사용 소식을 들은 영국 산부인과 의사 심슨(James Young Simpson)은 ‘수술시 통증을 줄여줄 수 있으면 분만시 통증도 줄여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다. 그리하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아버지'라는 별명을 가지게 한 가장 큰 업적이 되었다. 수술을 집도중인 파레. 위키
미디어
제공 ● 파레가 의학발전에 남겨준 유산 파레는 '화승총과 총기로 인한 상처를 치료하는 법(1545)', '사람 머리의 상처와 골절을 치료하는 법(1561)', '수술에 관한 논문(1564)'을 비롯하여 여러 저서를 남겼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업적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지 않고 조용히 사라져 버린 이유다. 올리버 웬들 홈즈. 위키
미디어
제공 ● 미국에서 무균처리법을 처음 주장한 시인(?) 미국에서 산욕열 예방법을 주장한 홈즈(Oliver Wendall Holmes, 1809~1894)는 1843년 'On the Contagiousness of Puerperal Fever (산욕열의 전염성)'이라는 논문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광우병' 단백질 '프리온', 바이러스로 오인된 이유
2024.02.17
짝을 맞춘 것으로 생각된다. 프리온 병중 가장 흔한 크로이츠펠트-야곱병. 위키
미디어
제공 ●프리온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 오늘날 렌티바이러스와 같이 특정의 바이러스를 가리키기 위해 “지발성 바이러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과거에 쿠루의 원인이라 생각한 것은 이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이거나 가장 가벼운 블랙홀이다. 위키
미디어
제공 이번에 관측된 펄서는 구상성단 NGC 1851의 구성원이다. 구상성단은 별의 밀도가 매우 높아 쌍성계 사이의 파트너 교환이 일어날 수 있다. 즉 태양질량의 2.09~2.71배로 추정되는 동반성은 과거 쌍성계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의학전반을 다룬 책이 '히포크라테스 전집'이라 할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 선서문. 위키
미디어
제공 ● 의과대학 졸업식에서 사용하는 히포크라테스 선서 오늘날 많은 의대에서 이제 막 의사생활을 시작하기에 앞서 졸업식을 할 때 “히포크라테스 선서”를 하곤 한다. 이 선서도 오래 전부터 전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와의 전쟁서 이길 수 있을까
2024.01.24
위키
미디어
제공 지난 2009년 노벨화학상은 ‘단백질 제조 공장’이라고 부르는 생체 분자 복합체인 리보솜의 구조를 밝힌 과학자 세 사람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그나마 덩치가 작은 박테리아 리보솜을 연구했는데 그럼에도 RNA 3개와 단백질 50여 개로 이뤄져 구성 원자 개수가 무려 22만여 개에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하면 화학요법제를 포함하여 항균제 대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스트렙토마이신. 위키
미디어
제공 ● 스트렙토마이신의 진짜 발견자는 누구인가. 스트렙토마이신 발견이 먼저 발견한 다른 항생제가 받지 못한 노벨상을 안겨다 준 것은 당시까지 불치의 병이던 결핵애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불소에 대한 소비자의 도를 넘는 거부감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플로오르(불소). 위키
미디어
제공 ● 어디에나 흔하게 존재하는 불소 ‘불소’(弗素)는 원자번호 9번의 할로젠 원소인 ‘플루오린’(fluorine)의 일본식 이름이다. 유럽에서는 ‘플루오르’(fluor)라고 부르고 중국과 대만에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 진흙에서 진주 찾는 법 뜻밖에도 2000년대 중반 기대득점 개념이 나온 뒤에도 한동안은
미디어
는 물론이고 현장 전문가들조차 받아들이지 않았다. 오히려 도박업체들이 승부 예측에 이를 활용해 꽤 재미를 봤다. 그러다가 축구 통계업체인 옵타가 기존 경기의 수많은 슈팅을 분석해 기대득점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