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고
오기
아집
의지
신념
밀착
집착
스페셜
"
고집
"(으)로 총 86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내가 지금 과학을 궁지로 몰아넣는 것처럼 보일지도 모르겠다. 학명에 서양인의 이름만
고집
하는 것은 식민주의적 태도를 영속하는 행위이지만, 그렇다고 토착민 이름으로 명명하려면 문화 침해라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복잡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지난 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혼란스러운 원전의 환경성 평가
2022.01.05
결정은 다분히 정치적·이념적인 것이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맹목적으로 탈원전을
고집
해왔던 정부도 원전의 환경성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했던 적은 없었다. 월성 1호기 조기 폐쇄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경제성’에도 사실 아무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부가 탈원전을 밀어붙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보다 출제 의도가 더 중요해진 수능
2021.12.22
트위터 캡쳐 사실 교육부와 평가원은 교육과정 내 출제 원칙을 지나칠 정도로 엄격하게
고집
했었다. 특히 대학의 논술고사에서는 교과서의 ‘탐구생활’에 소개된 내용도 용납하지 않았다. 2017년에는 2년 연속 교육부의 강력한 지시를 무시했다는 이유로 연세대를 비롯한 3개 대학에게 공개적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폐기된 기술에서 인류의 희망으로
2021.10.21
제약업계의 철저한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의 연구를 사랑하고 그 연구를
고집
스럽게 밀어붙인 소수의 보통과학자들의 공이 크다. mRNA 백신기술은 바이러스의 항원단백질을 코딩하고 있는 mRNA의 생산과, 이 mRNA를 안전하게 세포 내로 전달하는 리피드나노파티클 LNP의 합성으로 ... ...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 "비대면 수업 길어지면 득보다 실"…"집단감염 주의하며 대면 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9.11
길어질수록 득보다는 실이 많다고 지적한다. 최 교수는 "지금까지 온라인 수업을
고집
한 이유는 학교의 밀접접촉 환경상 소아청소년이 코로나19에 감염돼 가정 내 고위험군에게 전파할까봐 우려한 부분이 많이 작용했다"면서 "지금은 18세 이상 성인이라면 코로나19 백신 접종 기회가 있고 백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
2021.09.09
백신을 접종한 후 스케일스가 쓴 이 글에는 카리코 박사라는 과학계의 흙수저의
고집
과 끈기가 어떻게 전 인류를 구할 수 있는 기술로 이어졌는지 자세히 쓰여 있을 뿐 아니라 무한경쟁으로 연구자들을 몰아넣는 현재의 미국 과학생태계가 지닌 암울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교훈을 ... ...
코로나19 중증 가능성, 콧속 세포는 알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6
약 100개에 달하나 비강 백신은 단 7개다. 연구팀은 효과적인 백신 접종을 위해 한 종류만
고집
할 필요는 없다며 두 가지를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랜달 교수는 “궁극적인 접종 목표는 오래 지속되는 면역을 유도하는 것”이라며 “근육 주사 백신으로 장기간 전신 면역을 제공하는 IgG ... ...
타이레놀 성분 같은 해열제 70종 재고도 충분...정부 "생산량 더 확대"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1.06.06
그 효과가 동일하다고 강조했다. 문 과장 “효과가 동등하기 때문에 특정상품만
고집
할 이유가 없다”며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는 현재 일반의약품으로 허가된 70종이 국내에 유통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해열제 제고량은 지금도 충분하다. 6일 현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어설픈 전문가들의 억지에 흔들리는 사회
2021.05.26
1·2호기의 가동 승인에 대한 논란도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어설픈 과학자들의
고집
이 만들어낸 소모적이고 낭비적인 상황이다. 정부·전문가의 동문서답 정부·전문가와 국민이 서로 동문서답을 하고 있다. 백신의 경우가 그렇다. 정부·전문가는 백신의 접종으로 기대할 수 있는 편익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김치의 진정한 세계화'를 위한 전략
2021.03.31
창조적 자율에 의해서 결정되어야만 한다. 모든 수출품에 우리가 사용하는 이름을
고집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 정부가 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은 어설픈 것이다. ‘김치’의 세계화를 김치라는 ‘명칭’의 세계화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 우리 것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부끄러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