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속
강바닥
물밑
여울
뉴스
"
해저
"(으)로 총 452건 검색되었습니다.
산샤댐 녹조 오염 발견·세월호 인양 지원…33년 성과 남기고 퇴역하는 '이어도호'
동아사이언스
l
2024.11.29
극복했다. 세월호 사고 때는 인양을 돕기 위해 팽목항에서 일주일 동안 인근 2km 구간의
해저
지형 조사 및 퇴적물 채취를 진행했다. 이어도호의 퇴역 이후 그간 이어도호가 수행해온 연구·관측 임무는 첨단장비를 갖춘 ‘이어도2호’가 대체할 예정이다. 현재 이어도2호는 내년 상반기 취항을 ... ...
인공지능 이용해 신종 RNA 바이러스 7만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3
학습시켰다. 루카프롯을 작동시킨 결과, 약 16만 개의 RNA 바이러스를 찾았다.
해저
열수분출구, 온천, 소금호수, 공기 등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도 포함됐다. AI가 극한 환경에서 발견되는 바이러스까지 찾아낸 것이다. 약 16만 개의 RNA 바이러스 중 7만500개는 지금껏 학계에 보고 되지 않은 ... ...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발사 예정…생명체 존재 가능성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열수분출공이 있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
해저
에도 열수분출공이 있어 그 주변으로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파 클리퍼는 발사된 후 약 29억km를 이동해 2030년 4월 목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이후 약 50번에 걸쳐 25km 고도에서 근접 비행하며 ... ...
[동물do감] 최대 9만평 규모 군집 이루는 15cm 작은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때문에 방어 체계를 잘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이 수심 35~50m 아래
해저
에서 멸종 위기에 놓인 전자리상어를 찾는 과정에서 피카렐이 거대한 규모의 군집을 이룬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연구팀은 각 2.2~28ha(헥타르)에 달하는 15개의 거대한 피카렐 군집을 발견했다. ... ...
공룡 대멸종시킨 소행성 충돌 또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4
파동을 분석, 충돌구의 모양을 3차원(3D) 지도로 구현했다. 충돌구와 주변
해저
단층 등을 분석한 결과 칙술루브 충돌구와 비슷한 시기인 6500~6700만년 전에 폭 400m 정도의 소행성이 시속 7만2000km의 속도로 강타해 나디르 충돌구를 형성한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소행성이 지표면을 기준으로 20~4 ... ...
[동물do감] 걸어 다니며 바다맛 보는 물고기 '바다로빈'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Anik Grearson 제공 '걷는 물고기'로 유명한 바다로빈(sea robin)은 다리를 이용해
해저
를 맛보며 먹이를 찾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니콜라스 벨로노 미국 하버드대 교수와 데이비드 킹슬리 스탠퍼드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관찰 및 유전자 연구를 통해 바다로빈이 다리를 사용하는 방법, 다리 ... ...
해양 생물 번성에 사하라 사막 먼지가 기여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9.20
자철석, 황철석 등 퇴적물 형태로 존재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각 철 광물이
해저
의 지구화학적 과정을 거쳐 생물 반응성이 높은 형태로 전환됐다고 보았다. 지구과학적 과정은 지구에 존재하는 주요 구성물의 화학 조성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생물과의 반응성이 큰 철의 비율은 ... ...
심해 광물 덩어리가 뿜는다는 '암흑 산소'…과학자들 논쟁 점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큰 의문"이라고 전했다. 그는 약 20년 전에 스위트먼 교수팀과 같은
해저
착륙선을 사용해
해저
에서 산소 생산을 감지했지만 갇혀 있던 기포였던 것으로 밝혀진 적이 있다고 지적했다. 스위트먼 교수는 "단괴가 항상 산소를 뿜어낸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스위트먼 교수팀은 후속 연구를 ... ...
숨어 있던 6000만 년 전 대륙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6
일어났는데, 연구팀은 이 과정을 통해 소대륙이 만들어졌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해저
확장은 약 3300만년 전까지 계속됐고 그 결과 지금의 데이비스해협의소대륙이 형성된 것 입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소대륙이 형성되는 과정을 알 수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월 ... ...
월성 4호기 냉각수 누설 사고 예상피폭량 "연간한도 0.000039% 수준"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확인됐다. Sv(시버트)는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피폭선량을 나타내는 단위다. 해수와
해저
퇴적물, 어류 시료의 방사능 정밀분석 결과도 최근 5년간 KINS에서 시행한 환경방사능 감시결과와 비교해 모두 평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 원인으로 분석된 SFB의 냉각수와 해수 격리 고무 가스켓의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