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패
패주
불리
불운
멸망
뉴스
"
패배
"(으)로 총 1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노벨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
2021.10.13
심지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같은 천재도 한국에서는 결코 빛을 내지 못할 것이라는
패배
주의적이고 가학적인 목소리도 있다. 우리의 교육과 연구개발 환경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절망할 이유는 없다. 우리가 과학기술에 관심을 가진 것은 고작 60여 년 전이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특허 그리고 악당의 탄생'
2021.10.07
주축이다. 인종차별주의자이자 파시스트에 가까운 그는 트럼프의 대선
패배
이후 팟캐스트와 유튜브 등을 통해 ‘워룸’이라는 채널을 운영하며 극우적 발언을 이어갔다. 최근에는 앤서니 파우치 박사를 참수해야 한다는 등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으며, 결국 트위터 계정까지 영구정지된다. 이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기술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활용하는 지혜
2021.06.09
있다. 물론 단순히 위험하고 더럽기 때문에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은 비겁하고
패배
주의적인 것이다. 오히려 기술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활용하겠다는 지혜와 의지가 훨씬 더 중요하다. 기술을 충분히 안전하고 깨끗하게 활용하기 위한 기술 혁신과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더욱 적극적으로 ... ...
[이덕환의 과학세상]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과학적 사실
2021.04.28
건강하고, 안전하고, 평등한 문명사회를 이룩한 우리 자신의 능력을 극도로 폄하하는
패배
주의적 궤변이다. 방사능은 인류가 지구상에 존재하기 전부터 우주를 가득 채우고 있었고, 지금도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오염수를 희석시켜도 총량은 변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대표적인 괴담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는 세계 최초의 토론하는 AI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0
나타라얀이 토론을 벌이는 장면을 생중계했다. 결과는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패배
였다. 하지만 당시 포브스는 3월 7일자에 “프로젝트 디베이터는 자연어 처리에서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를 넘어섰다”고 극찬했다. 인간과 비슷한 기계를 보면 친근함보다는 불안감과 혐오감이 생기는 ... ...
"복지는 인간만이 가진 품위" 토론에서 누가 이야기했을까…답은 '신문 읽은 AI'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인간 토론자와 논리를 다툰 것이다. 2019년 진행된 이 토론은 결국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패배
로 끝났지만 정확한 논리와 근거에 유머까지 갖춘 토론 AI 등장은 많은 이들에게 놀라움을 줬다. 노엄 슬로님 미국 IBM AI리서치 연구원팀은 17일(현지시간) 프로젝트 디베이터의 토론 수준이 인간과 비등한 ... ...
호킹 박사 내기에서 지게 만든 블랙홀, 더 무겁고 더 멀리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두고 내기를 하기도 했다. 이후 관측자료를 통해 블랙홀 존재가 입증되면서 1990년
패배
를 인정한 호킹 박사는 손 교수에게 미국 성인잡지 ‘펜트하우스’ 1년치를 줬던 일화는 지금까지도 유명하다. 30년전만 해도 블랙홀 여부도 가려내기 어려웠던 인류의 관측 기술은 지금은 위치와 질량까지 ... ...
[인간 행동의 진화] 열대어의 화려함은 투쟁의 산물
2021.01.24
걸지는 않는다). 축구를 하다가 느닷없이 상대의 숨통을 끊어버리거나, 노래 대결에서
패배
했다고 그 자리에서 할복하는 사람은 없다. 경기 후에는 대개 웃으며 악수를 나눈다. 사실 이 밖에도 변종의 공격성이 좀 더 있지만, 대충 이 정도로 하자. 아무튼 겉으로 보이는 공격성도 실은 ‘진짜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과정이 아니다. 각각의 똥 덩어리에서 천 마리의 수컷 똥파리가 경쟁한다. 일부는 ‘
패배
’하여 얼른 떠나고, 일부는 몇 시간이고 ‘투쟁’하다가 번식에 성공할 것이다(사실 번식 적합도는 같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똥 덩어리마다 계속 반복될 것이다. 이를 똥파리 역사의 궁극적인 변증법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대사와 후성유전학
2020.11.17
정보를 청사진으로 바라보는 유전학의 관점은 현대판 전성설로 다시 한번 후성유전학에
패배
할 운명이라고 보고 있다. 게놈 정보는 생명현상을 이해하는 필요조건일 뿐이고 유전자 바깥에 더 많은 정보가 존재하며 매 순간 생성되고 소멸한다는 것이다. 기존 유전학도 복잡한데(인간 게놈은 30억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