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카라비너
카라
칼라
비너
카라카스
카쓰
뉴스
"
카스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세계 코로나 끝모를 재확산…미·유럽 더 거세진 감염 파도
연합뉴스
l
2020.11.13
프랑스 전역에 봉쇄령이 재발령됐는데도 확진자 증가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았다. 장
카스
텍스 프랑스 총리는 이날 "코로나19로 30초에 1명씩 병원에 입원하고 3분에 1명씩 중환자실에 간다"고 상황의 심각성을 설명했다. 이탈리아도 지난달 중순부터 '준봉쇄' 수준의 제한조처를 다시 도입했지만,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오작동 높은 민감도로 찾아낸다
연합뉴스
l
2020.11.05
나뉜다. 현재 널리 활용되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절단 효소에 따라
카스
9,
카스
12a 등으로 나뉘는데, 표적하지 않은 부위를 절단하는 등 오작동 문제가 있다. 비표적 절단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민감도가 낮아 1% 이하의 낮은 오작동률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절단 효소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많이 알려진 크리스퍼-
카스
9(Cas9‧왼쪽)은 이중가닥 DNA를 절단하는 반면, 크리스퍼-
카스
13(Cas13)은 단일가닥 RNA를 절단하는 등 종류에 따라 교정하고자 하는 표적이 다르다. 물론 세포 생물들이 바이러스의 침투에 속수무책으로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절단 효소에 따라 몇 가지 종류로 나뉜다. 많이 알려진 크리스퍼-
카스
9(Cas9‧왼쪽)은 이중가닥 DNA를 절단하는 반면, 크리스퍼-
카스
13(Cas13)은 단일가닥 RNA를 절단하는 등 종류에 따라 교정하고자 하는 표적이 다르다. 크리스퍼라는 염기서열을 처음 발견한 학자도 있다. ... ...
툴젠, 유전자가위 기능향상기술 미국특허 등록 허가받아
연합뉴스
l
2020.10.05
분할 출원 전략을 택했다. 이번에 등록허가를 받은 '기능성 향상 특허'는 크리스퍼-
카스
나인의 구성요소인 가이드 RNA의 구조 변형을 통해 유전자 교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에 대한 특허다. 툴젠 관계자는 "출원 혹은 등록된 모든 특허가 모여 원천특허가 되는 것"이라며 "이번 특허 등록은 ... ...
툴젠 "유전자가위 원천기술, 이르면 연내 미국 특허등록 전망"
연합뉴스
l
2020.06.24
미국 특허 등록 가능성이 커졌다고 24일 밝혔다. 툴젠은 유전자가위 기술인 크리스퍼-
카스
나인(CRISPR-Cas9)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유전자가위는 특정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돌연변이 유전자가 제 기능을 하도록 교정하는 생명공학 기법을 칭한다. [머크 제공=연합뉴스] 툴젠은 미국 특허청 ... ...
[IBS 코로나19 리포트]바이러스로 코로나바이러스를 잡는다
2020.03.23
생명과학자들이 치열하게 연구하고 있다. 가장 널리 활용되는 최신 기술이 ‘크리스퍼-
카스
(CRISPR-Cas system)’ 유전자 가위다. 박테리아가 자신을 공격하는 바이러스(박테리오파지)를 방어하려고 진화시킨 면역체계가 크리스퍼다. 박테리아는 침입자(바이러스)의 DNA정보를 자신의 DNA에 문신처럼 ... ...
"HIV·암 환자 모두에게 희망되고 싶어" 사상 두 번째 HIV 완치 환자 애덤
카스
티예호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개발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9년 ‘네이처’ 논문 발표 당시
카스
티예호 씨의 치료를 맡았던 라빈드라 굽타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의대 교수 역시 “HIV 감염은 잠복기가 길어 더 긴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9일 뉴욕타임스 역시 골수이식의 위험성을 언급하며 ... ...
세포가 에너지 만드는 ‘오토파지’ 조절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8
미완성이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산소 감소와도 관련이 있음을 추가로 발견했다.
카스
페이즈9 결손 세포는 오토파지에 필요한 활성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해 정상적인 자가포식소체가 형성되지 않았던 것이다. 유성운 교수는 “이번 연구로 복잡한 오토파지 조절 경로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정재웅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와 마이클 브루
카스
미국 워싱턴대 마취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스마트폰으로 뇌 신경회로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광유전학이나 신경약물학은 빛이나 약물, 그 둘의 조합을 이용해 주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