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기
배지
뉴스
"
배양액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크고 정교한 '미니 뇌' 생산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융합해 '뇌 오가노이드 배양 플랫폼'을 완성했다. 그리고 미세유체칩으로 산소와
배양액
을 공급했더니 뇌 오가노이드가 원래(2~3mm)보다 약 2배인 4~5mm 수준까지 자라고, 신경 기능도 증진됐다. 연구팀은 여러 번의 실험 결과 뇌 오가노이드를 최대 8mm까지 키우기도 했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미니 ... ...
[강석기의 과학카페]회춘하면 코로나19도 가볍게 앓을까
2021.07.27
배양액
에 노화세포가 분비한 신호물질이 농축된다. 이
배양액
을 사람 폐 상피세포
배양액
에 섞자 코로나19바이러스가 침투할 때 인식하는 에이스2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이 크게 늘었다. 노화세포가 바이러스 침투를 돕는다는 말이다. 세놀리틱이 고령자의 코로나19 위험성을 낮추는지 확인하려면 ... ...
맞춤형 재배로 채소맛 조절하는 푸드주크박스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푸드주크박스’ 스마트팜은 식물 재배에 필요한 빛이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양액
등을 정보통신기술로 제어해 병충해 예방, 생산 효율성 향상 등을 꾀하는 기술이다. 식물 재배에 미치는 환경 요인들을 센서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최적의 재배 환경을 구현한다. 11일 KIST 강릉 ... ...
눈물샘 오가노이드에서 눈물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21.04.07
쥐와 사람의 눈물샘 성체줄기세포를 키웠다. 성체줄기세포는 성장 관련 인자를 혼합한
배양액
에서 자란 지 10일 뒤 지름 0.2mm 크기의 눈물샘 오가노이드로 자랐다. 연구팀이 키워낸 눈물샘 오가노이드는 필로카르핀,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물질에 반응해 눈물을 형성했고 그 결과 눈물샘이 ... ...
“돌연변이로 항원성 바뀌면 백신도 소용 없어”…변이 바이러스의 실체를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9
남아프리카공화국 변이 바이러스를 분양받아 왔다. 3중 포장 용기에 담긴
배양액
은 1.8mL, 이 중 바이러스는 100~200μL(마이크로리터·1μL는 100만 분의 1L)다. 이 정도면 바이러스가 100만 주 이상 들어있다. 바이러스가 숙주 없이도 살아있도록 영하 196도 극저온 질소 탱크에서 냉동 보관한다. 박 ... ...
살아 있는 상태 그대로 세포 촬영하는 기술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7
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우선 5μL(마이크로리터·1μL는 100만 분의 1L) 부피의 세포
배양액
저장고를 만들고 이를 콜라겐 바이오 분자 박막으로 덮어 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이후 여기서 배양된 세포를 살아있는 상태에서 단일층 그래핀으로 덮었다. 단일층 그래핀은 물 분자조차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포고기는 동물고기를 대신할 수 있을까
2021.01.05
세포고기의 ‘철학’과 맞지 않는다. 따라서 잇저스트를 비롯한 회사들은 식물에 기반한
배양액
을 개발하고 있지만 역시 너무 비싸 아직은 갈 길이 멀다. 또 세포 분열과 분화를 지시하는 성장인자는 동물의 유전자를 미생물에 넣어 생산하게 한 뒤 추출해 섞어줘야 하므로 문제가 될 수도 있다.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마찬가지 상황이다. 비타민과 호르몬, 미네랄을 이용해 소 태아의 혈청 없이 만든
배양액
인 미국 크레센트 케미컬의 '울트라서 G'를 도입하는 방안 등이 현재 연구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상용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면서 대체육과 배양육을 포함한 인공고기의 시장 점유율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 ...
신장 보호하고 항암 효과 높인 케일 재배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연구팀은 백색 LED 조명을 설치한 인공광형 스마트팜에서 케일을 수확하기 2주 전부터
배양액
의 포타슘을 칼슘으로 대체해 공급하는 방식으로 포타슘 함량이 낮은 케일을 수확하는 데 성공했다. 케일의 생산량은 동일했다. 칼슘은 한국인이 권장량보다 적게 섭취하는 무기질이 칼슘이라는 사실에 ... ...
"형광 신호로 장 내 염증 진단한다" 스마트 미생물 개발
연합뉴스
l
2020.10.14
및 DB 금지] 스마트 미생물은 장내 환경과 비슷한 혐기성(산소가 없는 상태) 배지(
배양액
)에서 질산염을 특이적으로 감지해 냈다. 특히 대장염을 앓는 실험용 쥐에 스마트 미생물을 투여한 결과 질산염을 감지하는 형광 단백질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염증 진행 정도에 따른 질산염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