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기
배지
뉴스
"
배양액
"(으)로 총 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이희재 DGIST 동문, 포브스 코리아 30세 미만 30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씨위드는 배양육의 세포를 고정하는 스캐폴드 및 세포 증식에 필요한 영양 공급용
배양액
을 해조류로 개발해 배양육을 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 ...
미생물 이용해 자스민향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상단 균주만을 배양해 벤조산을 우선적으로 생산한다. 이후 하단 균주를 뒤늦게 접종해
배양액
내에 축적된 벤조산을 벤질아세테이트로 전환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공정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산업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산업적으로 ... ...
나노물질 인체 독성, ‘인공장기’ 오가노이드로 검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3일간 초기 배양해 세포외기질 돔을 제거했다. 이어 세포외기질을 5% 농도로 섞은
배양액
에 부유 배양해 나노물질의 독성을 테스트했다. 간 독성물질인 산화아연 나노입자(ZnO NPs)와 독성이 없는 금나노입자(AuNPs)를 처리해 비교한 결과 기존 배양법과 달리 각 물질의 독성 여부가 정확히 관찰됐다. ... ...
[과기원NOW] KAIST, 40% 이상 당겨도 작동하는 '스트레처블 태양전지'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6
되는 박테리아의 성장 특성을 분석하고 두 세균을 처음부터 동시에 배양한다. 이를 통해
배양액
의 수소이온농도(pH), 삼투압 등 여러 조건을 최적화해 24시간 안에 박테리아를 배양할 수 있게 만들었다. 박테리아 배양에 필요한 복잡한 공정과 배양시간을 절반 이상 크게 줄인 것이다. 소량의 박테리아 ... ...
뿌리에 전기 자극하면, 식물 성장 속도 빨라져
동아사이언스
l
2023.12.26
재배를 하고 있는 모습. 위키미디어 제공. 흙 없이 물과
배양액
으로 식물을 키우는 방식을 수경 재배라고 한다. 수경 재배 시 전기 자극을 가하면 식물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엘레니 스타브리니두 스웨덴 린셰핑대 유기전자공학연구소 교수 연구팀이 26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 ... ...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했을까
과학동아
l
2023.11.18
이후에는 유리관 끝 부분을 깨트려서 공기를 유입시키고 재밀봉하는 방식으로 공기가
배양액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그는 20개의 플라스크를 준비해 다양한 지역에서 채취한 공기를 유입시키며 공기에 따라 미생물이 발생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결국 1862년 12월 1일 프랑스 과학 ... ...
[씨즈더퓨처] 아들과 딸 골라 낳을 수 있다면
2023.04.09
위해 쓰는 방법인데, 맨 아래층에 정액 샘플을 넣고 그 위에
배양액
을 쌓으면 정자가
배양액
쪽으로 헤엄쳐 올라간다. 이때 위층과 아래층의 정자를 분리하는 식이다. 1999년 라파엘 쥬웰빅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팀은 이 기술을 정자의 성별 선택에 썼는데, 실험 결과 원하는 성별의 아이를 얻는 ... ...
영구동토층에 묻혔던 '좀비 바이러스' 깨어났다..."전염력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연구팀은 단세포 동물인 ‘아메바’를 미끼로 삼아 바이러스를 찾아냈다. 아메바
배양액
에 영구동토층 시료를 넣고 아메바의 감염 여부를 확인했다. 그 결과 13종의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토양과 강 등 여러 지형의 시료에서 바이러스가 나왔다. 예를 들어 약 4만8500년 전의 바이러스는 동시베리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늘어난다. 연구자들은 환원전극 표면을 음이온교환막으로 감싸는 등 몇 가지 조치로
배양액
조성으로도 환원 반응이 제대로 일어날 수 있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 전극에서 만들어진 C2가 용액의 흐름을 따라 순환하면서 미생물이 있는 배양기로 바로 공급되는 시스템이다. 물론 배양기의 미생물이 ... ...
미세먼지가 '암전이' 위험 증가시키는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19
대식세포가 가장 먼저 반응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미세먼지에 노출된 폐 대식세포
배양액
을 암세포와 반응시켰다. 분석 결과 암세포의 표피생장인자수용체(EGFR)가 활성화되며 이동성이 증가했다. 암 전이가 더 활발해진 것이다. EGFR과 결합해 암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