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반 폐플라스틱, 원재료 수준으로 쪼개 재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자연에서 분해가 거의 되지 않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미세플라스틱을 방출하는 등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꼽힌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저온에서 가시광선을 활용해 현재 폐기된 상용 플라스틱들을 원재료 수준으로 분해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그동안 매우 제한적인 플라스틱에서만 가능했던 재활용 ... ...
겨울철 전기차 배터리 고속 충전 음극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속 충전 배터리 소재의 한계인 용량과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기 음극 소재가 개발됐다. 전기차, 드론 분야 등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강석주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안석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책 ... ...
금속 스텐트 대체할까…몸에서 자연 분해되는 스텐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혈관 스텐트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고분자 복합 구조 설계와 3차원(3D) 프린팅 맞춤 제작으로 안전하고 실시간 혈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텐트를 개발했다. 기존 금속 스텐트의 한계를 극복하고 스마트 의료기기를 만드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생산기술 ... ...
포스텍,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이미지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8
포스텍 연구팀이 2D와 3D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하는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 이미지 센서를 개발했다. 자율주행차가 보행자와 장애물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능력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D와 3D 이미지를 동시에 처리하는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 이미지 센서가 나왔다. 페로 ... ...
차세대 친환경 건식 반도체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왼쪽부터) 홍석원 GIST 화학과 교수, 김도원 박사과정생, 변진환 연구원, 안재붕 석사과정생. 이들은 황찬국 포항가속기연구소(PAL) 연구원과 함께 단순한 열처리만으로 구현 가능한 혁신적인 친환경 건식 포토레지스트를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단순한 열처리만으로 구현 가능한 혁신적인 ... ...
코로나바이러스 전염 빠른 이유 발견…"백신 개발 실마리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17
왼쪽부터 유정민 KAIST 박사연구원, 이광록 KAIST 생명과학과 교수.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이 빠르게 전염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과 코로나19 같은 전염성 질환은 짧은 시간 안에 전세계로 확산됐지만 빠르게 전염되는 ... ...
저렴한 '코발트-철' 촉매로 친환경 수소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6
이수언 연구원이 비귀금속인 코발트-철(CoFe) 기반 촉매 샘플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비귀금속인 ‘코발트-철(CoFe)’ 기반 암모니아 분해 촉매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 고성능 귀금속 촉매의 높은 비용 문제를 해결해 친환경 수소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 ... ...
충방전 1000회에도 멀쩡한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전기차에 사용할 수 있는 충전·방전 1000회에도 용량이 약 80% 유지되는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하는 기술이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충전·방전 1000회에도 용량이 약 80% 유지되는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하는 기술이 나왔다. 화재 위험성이 낮은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하는 데 ... ...
박테리아, 우주탐사 걸림돌에서 동반자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우주비행사인 루카 파르미타노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박테리아가 든 카트리지를 설치하고 있다. 유럽우주국(ESA) 제공. 오랜 기간 우주 탐사의 장애물로 여겨진 박테리아가 인간의 장거리 우주여행 동반자로 '환골탈태'할 준비를 하고 있다. 9일 학계에 따르면 과학자들이 박테리아를 이용해 우 ... ...
"실험실에서 통제 가능한 '우주현상' 구현해 인류 지식 확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8일 광주과학기술원(GIST)에서 김경택 상대론적 레이저과학 연구단장이 레이저 펄스로 전자를 가속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광주=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블랙홀이나 중성자별에서 일어나는 빛과 물질의 극단적 상호작용은 관측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강력한 레이저 실험으로 지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