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d라이브러리
"
증명
"(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RSA 암호의 핵심 원리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오가는 정보의 내용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그 정보가 원본 그대로 조작되지 않았음을
증명
한다. 또 사이버공간에서 신분을 확인하는 ‘주민등록증’ 역할도 한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공인인증서를 생각하면 된다. 이때 가장 많이 쓰이는 암호가 공개키 암호 중 하나인 ‘RSA 암호’인데, 그 ... ...
소수만 거르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N까지의 소수를 구하려면 √N 까지의 소수를 체에 거르기만 해도 충분하다는 명제가
증명
된 것이다. 이 방법은 오늘날까지 수학과 컴퓨터 과학에서 중요한 기술로 쓰이고 있다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다시 오일러의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리만 가설보다 더 오래된 난제 이야기다. 한 편지에서 시작된 소수에 관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 이 수보다 큰 수에서 예외가 발견될 수 있다. 그 후의 짝수에 대해서 정확히 성립하는지 아무도
증명
하지 못했다 ... ...
쌍둥이 소수 추측으로 필즈상 수상한 제임스 메이나드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코이코일로포일로스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 교수와 함께 ‘듀핀-쉐퍼의 정리’를
증명
했다. 1941년에 발표된 문제로, 실수와 유리수의 오차가 특정 수준만큼 작을 때 이를 만족하는 유리수가 무한히 많은 경우는 언제 나타나는지 밝히는 것이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에 관한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게 아니야.”“그럼 뭘 찾는데?”“음, 쉽게 말해서 ‘인간으로서 나의 존재의 의의를
증명
해줄 만한 확신’ 같은 거?”선은 미아가 무엇을 찾으려 하는 것인지 당최 감조차 잡을 수 없었다. 선은 그게 정확히 뭐냐고 미아에게 묻고 싶었지만, 미아가 다시 말을 시작하는 바람에 질문할 순간을 놓치고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못했다. 다만 1935년 세케레시와 에르되시는 해피엔딩 문제에 항상 답이 있다는 것을
증명
했다. 1961년에는 n이 3보다 크거나 같을 때 볼록 n각형이 그려지려면 최소 점의 개수가 1 + 2n - 2보다 작거나 같다고 추측했다. 이를 ‘에르되시-세케레시 추측’이라고 부르며 이 역시 아직 미해결이다 ... ...
집안일 하다 떠올린 팬케이크 문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나타낼 수 있는 단계 안에 정답을 찾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이 없는 ‘NP-난해’라는 것을
증명
했다. ‘NP-난해’는 경우의 수를 일일이 직접 따져보는 것 말고는 수학적으로 일반화한 답을 찾을 수 없는 문제를 뜻한다. 정확한 일반식을 구할 순 없지만, 팬케이크 문제의 원리는 불규칙한 데이터를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점에 주목해 고양이의 *오일러 지표가 가마의 존재를 판단하는 지수의 합과 같다는 것을
증명
했다. 이를 ‘털 난 공의 정리’라고 부른다. 이제 공처럼 둥근 고양이의 오일러 지표를 보자. 먼저 고양이의 표면 전체를 삼각형 여러 개로 덮은 다음, 오일러 지표를 구하면 표면을 덮는 데 삼각형을 몇 ... ...
아프리카 펭귄에게 ‘점’이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펭귄들이 배와 가슴을 내밀며 힘차게 물 밖으로 나온다. 사진 속 펭귄들은 주로 남아프리카 해안에 서식하는 아프리카 펭귄(Spheniscus demersus)이다. 아프리카 펭귄은 무 ... 못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새의 개체 인식을 담당하는 시각적 단서를 최초로
증명
한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 ...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것을 담고있다 'DNA와 체액'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살인을 입증할 시신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도 피해자의 사망 사실을 간접적으로
증명
할 수 있다. 범행도구에 묻어있는 아주 작은 조직의 DNA 감정을 통해 해당 조직이 신체의 어느 부위인지 확인하는 식이다. 만약 뇌, 심장 등 주요 장기의 조직임이 판정된다면 대상자가 사망했다고 추정할 수 있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