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음박질
뜀박질
d라이브러리
"
주행
"(으)로 총 580건 검색되었습니다.
[5년 후, 과학은] 미래를 위한 오래된 신소재 강유전체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당시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뒤늦게 역
주행
을 하는 사람에게 ‘중고 신인’이라는 역설적인 표현을 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오래됐지만 신선하다는 의미죠. 이번 달에 다루는 강유전체도 신소재 분야의 중고 신인입니다. 처음 발견된 지는 100년이 넘었고, 강유전체를 이용해 전원을 꺼도 ... ...
[기획] 암호화폐 벌면 기후변화 빨라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03호
구상이다. ▲ 자율
주행
차량이 사용하는 라이다나 카메라 등의 센서가 고도 자율
주행
AI와 만나게 되면 연산량도 크게 늘 수 있다. 벨로다인 라이다 사의 라이다 작동 모습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교통공학자랑 도로 건설 게임을 해봄 Freeways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교통공학자들은 게임 내부를 운전하며 영상을 촬영해 자율
주행
인공지능을 가르칠 수 있죠. 프리웨이즈는 교통과 게임이라는 상상하기 쉽지 않은 조합을 이루어낸 게임입니다. 오늘 하루 교통 체증 때문에 고생하셨다면 프리웨이즈 한 판을 추천합니다. 아마 저처럼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
과학동아
l
2023년 02호
28세울산광역시)는 현재 대학에서 자율
주행
자동차를 연구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론 자율
주행
자동차가 도입됐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가 그의 연구주제다. 그는 “사람도 실수로 사고를 일으키듯이, AI도 알 수 없는 오류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사람들이 안전 앞에서 AI가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2020년 11월 네바다 사막에서 유인 모의
주행
을 이미 성공한 바 있지요. 비록 모의
주행
속도는 시속 172km였지만 열차와 튜브 사이를 자기력으로 띄운 상태에서 운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이퍼루프 열차는 일반 열차처럼 길지 않고, 소수의 인원이 탈 수 있는 캡슐 형태로 만들어질 ... ...
[만화 뉴스] 3~5년 뒤엔 로봇 집사와 살게 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1호
다른 휴머노이드 로봇들에 비해 기술 수준은 미흡하지만 옵티머스는 완전자율
주행
에 사용하는 AI 기술이 적용돼, 의사결정이 가능한 로봇으로 발전하고, 집안일부터 반복적 공장 일까지 다양하게 활용될 거라 일론 머스크는 설명했답니다 ... ...
[특집] 플라잉카 내 손으로 조립해서 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시속 201km로
주행
할 수 있고, 하늘에서는 시속 305km까지 날아갈 수 있어요. 시속 약 300km로
주행
하는 KTX 고속열차보다도 속도가 빠른 거지요.이 플라잉카를 개발한 샘슨스카이의 샘 보스필드 창업자는 “미래에는 도로가 아닌 하늘에서 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며 수직이착륙 플라잉카를 위한 ... ...
[특집] 플라잉카 개발 현장에 가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이 위에 올라타는 형태지요. 이 플라잉카는 위쪽에 달린 모터로 동력을 얻어 도로를
주행
하다가 날개를 펼치면 날아오를 수 있어요. 날개를 펼치는 장치를 ‘리니어 액추에이터’라고 합니다.”민성재 연구원이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차에 붙어 있다가 양쪽으로 갈라지는 모습을 보여줬어요. 리니어 ... ...
[JOB터뷰] 문학이 과학을 만나는 순간 SF작가 천선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쓰인 SF 또한 당시에는 말도 안 되는 요소였는데, 지금은 현실이 된 부분도 많잖아요. 자율
주행
차량이나 스마트폰 같은 것들이죠. 그러니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우선 만들어나가 보세요. 다만, SF라고 평소 과학 콘텐츠만 접하기보다는 다양한 창작물을 통해 자극을 받아들이는 걸 추천해요. ... ...
[특집] 플라잉카 내년부터 하늘을 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거리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전용민 연구원은 “도로
주행
에 필요한 장치까지 넣으면 플라잉카가 무거워져 뜨기 어렵기 때문에 현재 단일모드가 더 많이 개발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플라잉카는 비행기처럼 활주로가 필요한 방식과 헬리콥터처럼 정지 상태에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