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령"(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DNA가 전사된 형태인 전령 RNA(mRNA)를 이용해 만들어진다. 바이러스는 저마다의 방식으로 전령RNA를 만들어 세포 안에서 원하는 단백질을 합성한다. DNA에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그룹1, 그룹2 바이러스를 DNA 바이러스라 하며, RNA에 저장하는 그룹 3~6 바이러스를 RNA 바이러스라 부른다. 또 역전사효소를 ... ...
- [화보] 이렇게 성큼,봄이 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동강할미꽃이 깨어나지요. 강원도 동강 곁에만 산다는 희귀종 동강할미꽃은 봄을 알리는 전령사. 북반구에 자리 잡은 한반도에서 밤낮 길이가 같아지는 춘분이 되면 하얀 털로 곱게 꽃잎을 감싸고, 조용히 고개 숙여 이른 봄을 알리지요. 마음 급한 새싹은 따뜻한 봄비 한 번에 아지랑이처럼 하늘로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완전히 새로운 현상은 아니다.‘에이다(ADAR)’와 ‘아포벡(APOBEC)’이라는 효소가 전령 RNA의 서열 중 A를 G로, C를 U로 바꾸는 ‘RNA 편집(RNA editing)’이라는 현상이 이미 밝혀져 있었다(아래 그림).이는 대부분 체내에 들어온 RNA 바이러스로부터 세포를 방어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즉 바이러스의 RNA를 ... ...
- 귀뚜라미 vs 꼽등이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20호
- 까리뚤 헤까리뚤~.‘귀뚤’거리며 가을을 알리는 전령사인 귀뚜라미 흉내를 내다가 말투까지 비슷해진 헷갈리나야. 귀뚜라미와 꼽등이가 헷갈린다고? 소리를 내면귀뚜라미잖아! 뭐, 소리 안 내는 귀뚜라미도 있다고? 에구에구,나도 헷갈리네~. 귀뚜라미몸 전체에 진한 갈색 또는 흑갈색으로 ... ...
- [체험] 원 모양 색종이로 만드는 크리스마스 장식볼수학동아 l2012년 12호
- 12세는 베드로 성당에 그림을 그릴 유능한 화가를 찾고 있었다. 위대한 화가를 찾기 위해 전령을 보내 화가들에게 각자의 재능을 보여 줄 수 있는 작품을 내라고 명했다.이때 르네상스 회화의 선구자라고 불리는 화가 조토도 작품을 냈다. 그런데 그 작품은 붉은 물감으로 그린 원이었다. 그림을 ... ...
- 잊혀진 ‘삭금’의 고장, 김포 한강 하구과학동아 l2012년 11호
- 어림잡아 천 마리는 돼 보였다.“큰기러기예요. 매년 9월 중순 김포를 찾는 가을의 전령이죠.”윤 이사장과 현 작가가 촬영을 시작했다. 큰기러기들은 사람의 기척에 천천히 반응을 보였다. ‘꾸룩꾸룩’하는 소리가 들렸고, 고요함을 깨는 느리지만 우아한 움직임이 논 오른쪽 부분에서 시작됐다. ...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과학동아 l2011년 08호
- 그 결과 숙주의 면역계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 한편 구제역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전령RNA(mRNA)가 되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인 반면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mRNA와 상보적인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다. 그 결과 숙주세포에서 복제하는 메커니즘이 많이 다르다. - 과학동아 2011년 2월호 시사기획 ... ...
- Part 2. 숙주 특이성과학동아 l2011년 02호
- 그 결과 숙주의 면역계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 한편 구제역바이러스는 게놈 자체가 전령RNA(mRNA)가 되는 양성가닥 RNA 바이러스인 반면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mRNA와 상보적인 음성가닥 RNA 바이러스다. 그 결과 숙주세포에서 복제하는 메커니즘이 많이 다르다.[구제역바이러스-지름이 30nm에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정보를 뇌로 보내면 임무 끝이다.연구자들은 각 수용체 유전자가 발현될 때 만들어지는 전령RNA(mRNA)의 염기서열과 상보적인 DNA 단일가닥을 탐침으로 써서 위의 가설을 검증했다. 예를 들어 미뢰의 한 세포에 T2R1 유전자가 발현해 mRNA가 존재한다면 여기에 상보적인 DNA 가닥이 달라붙어 신호를 낸다. ...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포착됐다. 그런데 그 방식이 좀 특이했다. 발달 기간 동안 lin-14 유전자가 발현되는 양, 즉 전령 RNA(mRNA)의 양은 비슷한데 lin-14 단백질의 양은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었던 것. 발달조절에 관여하는 건 단백질이기 때문에 결국 단백질이 줄어들면서 성숙 억제가 풀려 성체로 발달하는 과정이 진행된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