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메신저
심부름꾼
메신져
급사
배달인
송달관
d라이브러리
"
전령
"(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주기를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단백질이 아닌
전령
RNA(mRNA)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팀은 세포의 주기에 따라 mRNA아데닌 꼬리가 달라지는 현상을 확인해 이같이 밝혔다. 세포 주기는 크게 간기와 분열기로 나뉜다. 연구팀은 세포 주기 조절에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진입했다. 메신저는 수명이 다하는 2015년 4월 30일까지 약 4년 동안 궤도를 돌면서 ‘
전령
’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특히 메신저는 수성의 극지방에 얼음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해 수성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금성의 속살을 벗긴 레이더금성은 구소련이 달 탐사 이후 가장 관심을 갖던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메커니즘과 관련이 있다. 짧은 비암호화 RNA는 주로 단백질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
전령
RNA(mRNA)의 꼬리 부분에 결합해 RNA의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이런 mRNA는 세포질에서 곧 분해되고 자연스레 단백질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목표로 하는 mRNA에 정확히 결합하는 것이다. 그러기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두 차례나 임무를 연장 수행하다가 지난 달 모든 추진력을 소진하고 수성에 충돌했다.
전령
(messenger)이 추락한 자리에는 16m 크기의 크레이터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 ...
[과학뉴스]
전령
RNA 사라지는 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로써 김 교수팀은
전령
RNA의 분해과정을 상세히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김 교수는 “
전령
RNA가 분해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게 된 만큼 유전자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새삼과 숙주가 서로
전령
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해석했다.연구팀은 “새삼은 숙주의
전령
RNA를 얻어 숙주의 방어 시스템을 확인하는 것 같다”며 “이 연구를 역으로 이용하면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기생식물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2. 은하와 생명의 진정한 기원 드러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우주에 대해서 다 똑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설명된다. “강릉에 같이 있던 두
전령
이 정보를 공유하고 ‘별에서 온 그대’의 도민준처럼 각각 평양과 전주로 공간이동을 한 후에(즉 급팽창을 한 후) 한양으로 각각 출발했다”고 박석재 연구위원은 설명했다.급팽창이론의 또 다른 장점은 ... ...
벚꽃 vs 매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야, 봄의
전령
사~! 헷갈리우스! 오늘은 벚꽃 축제에 놀러왔스~. 여기도 벚꽃, 저기도 벚꽃, 거기도…. 엥? 이 꽃들 뭔가 조금씩 달랐스~. 벗꽃벚꽃이 피는 벚나무는 높이 20m에 달하는 장미과 식물이에요. 4~5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화려하게 피어, 곳곳에서는 벚꽃 축제가 열린답니다. 벚꽃을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즉 뇌단백질체(프로테옴)지도를 만들고 있다. 유전자를 사용하는 과정의 중간 결과물이
전령
RNA라면, 최종 결과물의 모음은 단백질체다. 뇌단백질체지도 역시 사용하는 유전자를 조사하고 지도로 만든다는 점에서 뇌전사체지도와 목표가 비슷하다. 우리나라의 인간뇌단백질체지도는 ... ...
Part 3. 바이러스는 어디서 왔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들 모두 ‘피코나-수퍼패밀리’의 구성원으로서 각각의 유전체는 세포 속에 있는
전령
RNA(mRNA)와 구조가 매우 닮았다.또, 이 바이러스들은 RNA 유전체를 복제하기 위해 특별한 효소 유전자를 갖고 있는데, 세포에도 비슷한 유전자가 있어 탈출 가설을 뒷받침한다. 더욱이 세포퇴화설로 설명하기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