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자"(으)로 총 2,5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외계 생명에게 말을 걸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있습니다. SETI는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기술 문명을 가진 외계 지성체를 찾고 있습니다. 연구자들은 외계인들도 장거리 소통을 한다면 전파를 활용할 것으로 보는 거죠. 우주 너머로 외계 지성체에게 보내는 인터스텔라 메시지는 주로 1.42~1.72GHz(기가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사용합니다. 수소 원자의 ... ...
- [과동키즈] "과학도의 역량은 어디서나 꼭 필요합니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가진 인재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학창 시절에 과학도였더라도 꼭 과학자, 연구자가 돼야하는 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과학을 공부하며 체득하는 문제 해결력, 비판적분석적 사고는 현대 사회의 어느 분야에서나 꼭 필요한 ‘원천 역량’임을 현장에서 느낀 까닭입니다.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어떤 생물을 탐사했을까? 2023 시민과학 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에 쓰인다! “새가 좋아하는 공원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지구사랑탐사대 연구자들은 대원들이 탐사한 기록을 받아 연구에 활용하고 있어요. 라이노비틀즈와발자국팀 곽수진 연구원은 새와 사람이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공원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곽수진 연구원은 공원에 있는 ... ...
- 컴퓨터 공학도들, 2000년 전 파피루스를 읽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들이 챌린지에 참여할 줄은 몰랐다”면서 “베수비오 챌린지를 통해 그간 다섯 명의 연구자가 작업하던 일에 전 세계의 공학도 수천 팀이 함께했다”고 했다. 그는 “하나의 목표를 위해 여러 사람이 경쟁하는 ‘경쟁적 과학’덕에 고대 파피루스 해독이 앞당겨졌다”고 했다. 베수비오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유래했다. 제켄도르프는 관련 연구를 1972년 논문으로 발표했지만, 최초의 연구자는 아니다. 20년 전 네덜란드 수학자 헤릿 레케르케르커르가 동일한 연구를 먼저 발표했다. 예를 들어 100을 피보나치 수로 분해하면 100 = 89 + 8 + 3, 100 = 89 + 8 + 2 + 1, 100 = 55 + 34 + 8 + 3이다. 하지만 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우리 몸이 외부와 직접 닿는 부분인 각질층을 재현하는 것입니다. 기존 인공 피부는 연구자가 피부 위에 일일이 각질층을 만드는 경우가 대다수였습니다. 그러면 각질층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고 빈 공간이나 뭉치는 부분이 생겨 새로운 제품을 제대로 시험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어요. 김병수 ...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기술정책이란 무엇일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 돈을 어떤 연구자에게, 어떻게 지원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과학정책 연구자들은 여러 사안을 고려해 ‘어떤 연구가 더 훌륭한가’, ‘어떤 연구가 더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를 따져 최선의 선택을 내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과학정책은 ‘과학을 돕는 ... ...
- [대학원 탈출일지] 그곳에 행복이 없는 것은 당연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연구자가 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 알게 됐지만 그것을 감내하겠다 마음 먹은 새싹 연구자들이다. “웹툰을 그리면서 회사를 그만둬, 이제는 치킨공학이란 학문에서 완전히 멀어졌지만 후회는 없어요. 대학원 탈출일지로 누군가의 길라잡이가 됐다는 게 기쁩니다. 과학동아 독자분들이라면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질문의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될까요? 인문학자 : 어떤 학문을 공부하든지 연구자들은 알게 모르게 그 학문의 역사를 공부해요. 수학에서 새로운 이론을 도출하기 위해 선행 연구를 검토하는 것도 곧 역사를 공부하는 것과 같지요. 다만 보통의 수학자가 검토하는 역사는 범위가 비교적 짧고 최근인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과거 한 스타트업에서 투자 제안서에 고의로 누락한 실험이 있음을 찾아낼 수 있었다. 연구자로 보낸 시간 동안 가치를 알아보는 안목이 만들어진 것이다.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출신 1호 스타트업 2009년, 당시 서울아산병원 내과 레지던트 4년 차였던 김이랑 온코크로스 대표는 동기들과 다른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