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언어"(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범용인공지능(AG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대비하자고 주장해요. 예를 들어 이스라엘의 역사학자인 유발 하라리는 “인공지능이 언어를 습득한 것은 인류 문명의 마스터키를 손에 넣은 것과 같다”고 말했어요. 그러면서 “인공지능 기술을 악용하는 사람들로 인해 사이버 공격 등의 위험이 생길 수 있는 만큼 한시적으로 인공지능 개발을 ... ...
- 별난 생물 이름 어떻게 지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이름이 있어요. 바로 고양이의 학명, ‘펠리스 카투스(Felis catus)’지요. 학명은 국적, 언어에 관계 없이 누구나 들으면 어떤 생물인지 알 수 있는 만국 공통의 이름이에요. 학명은 몇 가지 간단한 규칙만 지킨다면 어떤 식으로든 만들 수 있어요. 생물 분류의 가장 작은 단위인 속의 이름(속명)과 종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 알차게 즐기는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디지털 기기로 미리 살펴본 뒤, 내 취향에 딱 맞는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또 그 나라의 언어를 몰라도 번역기 앱이 있다면 현지인과 충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아주 낯선 곳에서도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을 할 수 있어요. 이번 시간에는 디지털 미디어 기기로 여행을 계획하고 즐기는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어느 날 자가 모두 사라졌다?! 도와줘, 별별 단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군인들은 줄을 맞춰 1000걸음을 걸은 뒤 땅에 말뚝을 박아 거리를 측정했거든. 로마 언어로 1000걸음을 ‘밀레 파슈움(mille passuum)’이라고 하는데, 마일(mile)과 생긴 게 비슷하지? 영국과 미국에서는 아직도 나를 널리 사용해. 음 달콤해~ 브릭스(Brix) 길이는 아니지만 ‘맛’을 측정하는 단위도 있어! ... ...
- [4컷 만화] 세계 최초 ‘로봇 파일럿’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월 19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심현철 교수팀은 사람의 언어로 적힌 항공기 비행 지침을 이해하고 비행기를 직접 조종할 수 있는 로봇 ‘파이봇’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파이봇은 키 165cm, 몸무게 65kg로 사람의 신체와 비슷한 휴머노이드 로봇이에요. 연구팀은 생성형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강연을 기획하고 촬영하는 데 여념이 없습니다. 가장 집중하는 주제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파이썬’을 이용해 피보나치 수열을 구현하고, 소수 판별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 등 수학적 원리를 알려주는 거예요. “어떤 일을 빠져들 만큼 사랑하려면 감각적이고 구체적인 자극으로 그 일을 느껴야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를 통해 언어모델의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챗GPT는 2023년 1월, 발표 2개월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억 명을 돌파하며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떠올랐다. MAU란 해당 월에 한 번이라도 접속한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땐 수학과 물리학이 각각 고도로 분화됐어요. 수학자와 물리학자는 마치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처럼 의사소통하기 어려워졌지요. 하지만 1980, 90년대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가 놓였습니다. 위튼 교수의 역할이 컸지요. 오늘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을 되짚어보려고 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지다가 결국 물리학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20대 초반에 역사와 언어학은 제 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물리학과 수학에 더 재능이 있다는 걸 깨달았지요. 물리학으로 전공을 선택할 때 물리학과 수학 두 분야에 관한 지식이 거의 없었어요. 결정을 내릴 당시에 우연히 ... ...
-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위튼 교수가 걸어온 길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점차 시들해지지요. 놀랍게도 위튼 교수는 미국 브랜다이스대학교를 역사학 전공, 언어학 부전공으로 졸업합니다. 정치에도 관심이 많아 1972년 미국 정치가 조지 맥거번의 대통령 선거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지요. 1973년 21세가 된 위튼 교수는 돌연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대학원 응용수학과에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