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장"(으)로 총 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과학동아 l2009년 03호
- 용승(湧昇)하는 페루 앞바다 같은 곳은 많은 어류와 생물이 서식하는 천혜(天惠)의 어장이 형성된다. 이런 사실에 착안한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1972년 카리브해 인근의 세인트 크로이 섬 앞바다의 수심 870m 해역에서 끌어올린 심층수로 식물플랑크톤이나 해조류, 조개류를 키우는 실험을 했다. 그 ...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강원 고성군 거진항. 쿠릴해류와 북한 해류가 만나는 천혜의 어장이었던 이곳에서도 명태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1970, 1980년대를 고비로 명태의 생산량은 급감해 이젠 출어하는 어선을 찾아보기 힘들다.우리가 먹는 명태는 거의 수입산이라고 보면 틀림없다. 러시아산과 ... ...
- “독도는 우리 땅~♪”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5호
- 이를 먹고 번식한 플랑크톤이 해류를 따라 울릉분지로 흘러오면서 독도 일대가 황금어장이 된다는 걸 밝힌 거죠.그러고 보니 장경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교수팀도 한국해양연구원, 부경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독도 심층 해류를 발견했다고 들었어요.맞아요. 독도 서쪽 2000m 깊이의 심해에서 ... ...
- 바다영웅 전설, 우리 바다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3호
- 엄청나게 차이가 나게 되지. 특히 독도 근처의 바다는 북한한류와 대마난류가 만나 황금어장을 이루고, 많은 지하 자원이 묻혀 있을 거라 예상되는 곳이기도 해. 그래서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독도를 지키고 있어. 독도 바다의 생태가 어떠한지, 특별한 해류 현상은 없는지, 지형은 ... ...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과학동아 l2008년 11호
- 북태평양 난류가 만나 명태나 오징어, 멸치 같은 전통적인 식량자원 어종이 풍부한 황금어장으로만 알려졌다.하지만 동해는 유용한 생체물질을 얻을 수 있는 플랑크톤이나 박테리아가 풍부한 ‘생물자원의 보고’다.“동해는 아직 생태계의 구조나 다양성에 대해 알려진 게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과학동아 l2008년 09호
- 영양염을 끌어올리면 플랑크톤이 번성해 해류를 타고 울릉도와 독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어장을 형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바다사자, 멸종 확인되면 캘리포니아서 도입특이하게도 독도 주변 해역에서는 동일한 위도상의 동해안과 달리 제주도 주변이나 남해 먼 바다에 사는 생물을 발견할 수 ... ...
- 3. 추위에 강한 생물자원의 보고과학동아 l2008년 08호
- 이동하는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도 마찬가지다. 동해안은 한류와 난류가 교차해 천혜의 어장을 형성하는 곳이었지만, 이젠 한류보다는 난류성 어종이 더 많이 산다. 동해 명태잡이 선단이 북쪽 바다로 이동한지는 이미 오래됐다.따뜻한 바닷물을 피해 달아난 생물자원을 따라 북극으로 몰려드는 ...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과학동아 l2008년 02호
- 수 있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면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해마다 가두리어장을 휩쓸고 지나가는 적조부터 갑작스러운 해양오염사고까지 한반도 주변 바다를 살피며 수호천사 역할을 할 COMS의 활약이 기대된다 ... ...
- 태안 앞바다 기름 오염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01호
- 전복, 김 등의 양식장도 많이 있어요. 하지만 이번 사고로 태안군 361곳과 서산시 112곳의 어장이 오염되어 어민들은 큰 피해를 입었어요. 게다가 태안반도를 따라 즐비한 만리포, 천리포, 학암포 등 해수욕장도 백사장 속까지 검은 기름으로 오염되었답니다.태안반도 지역은 해안국립공원으로, 2500여 ...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과학동아 l2008년 01호
- 1백-2백m) 경사가 완만한 해저 영양물질이 풍부해 많은 바다 생물이 살기 때문에 좋은 어장을 형성한다상대적으로 따뜻하고 잘 혼합되는 수심 2백m 이내의 해양 부위표층 바로 아래 수심 2백-1천m에 존재하는 지역으로 수온이 급격히 감소하는 층해구에 있는 깊이 팬 곳생태계 내에서 한 생물이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