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애기"(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름을 쓰면 표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애기똥풀로 팀명을 쓰고, 애기똥풀과 서양민들레 씨앗을 확대경으로 관찰하는 미션도 수행했어요. 온몸에 가시가 있는 지느러미엉겅퀴 사진도 찍었지요. 이 과정에서 각 식물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배울 수 있었어요. 또 토끼풀로 예쁜 ...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군이 절단된 돌연변이 애기장대를 염분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자라게 했을 때, 정상 애기장대보다 성장이 더딘 것을 확인했다. 퍼슨 교수는 “식품 생산의 큰 걸림돌이었던 염분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셀’ 9월 4일자에 실렸다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곤충들이 모여든다. 똥 굴리기 실력이 좋은 왕소똥구리, 똥 굴리기 실력이 없는 애기뿔소똥구리, 배설물에 모여 사는 소똥풍뎅이, 금풍뎅이, 똥풍뎅이 등이다. 모두 배설물에 모여 알을 낳아 자연적으로 배설물을 처리해주는 고마운 청소부들이다. 다행히 최근 우리나라에서 똥을 굴리는 실력자 ...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른 곤충이나 식물과 공생을 통해 조화롭게 살아가고 있지요.“만약 개미가 없었더라면 애기똥풀이나 제비꽃 등의 씨앗이 번식하기 힘들었을 거예요. 개미는 꽃으로부터 맛있는 수액을 얻고, 꽃은 개미를 통해 번식하는 공생을 한답니다.”이어서 명예기자들은 개미 채집에 나서기로 했어요. ... ...
- 알쏭달쏭~ 귀화식물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다음 해에도 그 자리에 살고 있다는 보장이 없거든요. 예를 들어 유럽에서 들어온 ‘애기노랑토끼풀’은 처음에는 서울 한강 둔치에서 발견됐어요. 몇 해 동안 한강둔치에서 발견돼 한강을 기점으로 퍼져나간다고 생각했지만, 어느 순간 사라져 버렸지요. 그리고는 제주도 저지대에서 발견됐어요. ...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이런 식물의 겨울나기를 ‘춘화처리’라고 부르며 후성유전으로 설명한다. 한 예로 애기장대(Arabidopsis )에는 개화를 억제하는 FLC 유전자가 존재한다. 꽃이 피지 않는 첫해에는 FLC가 강하게 발현되지만 겨울이 오면 추위에 따라 FLC의 발현이 점차 줄어든다. 겨울이 끝날 때는 더 이상 개화를 억제하지 ... ...
- [Hot Issue] 올해 벚꽃, 제 날짜에 필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개화 시기도 알 수 있다. 개화유전자도 마찬가지다. 안지훈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애기장대의 경우, 개화와 관련된 AP1 유전자가 나오기 시작하면 4~5일 안에 꽃이 핀다”며 “개화와 관련된 유전자나 호르몬, 단백질의 양을 재면 꽃이 언제 필지 비교적 정확하게 알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 ...
- 지구사랑탐사대 가족캠프 생물 탐사하며 미션 수행!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5호
- 요정이 나올 것 같아. 습지에는 연뿐만 아니라 핫도그처럼 통통한 암꽃이삭이 달려 있는 애기부들, 바람 따라 춤을 추는 갈대가 가득 차 있어. 물속에는 붕어와 치리, 참개구리, 물자라, 물달팽이, 우렁이, 잠자리 유충 같은 동물이 함께 살지. 눈과 입부터 배 끝까지 온통 새빨간 고추잠자리도 하늘을 ... ...
- 식물끼리 대화? “RNA로 해요”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토마토에 기생하는 새삼의 0.17%는 토마토에서 유래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반대로 숙주인 애기장대와 토마토에서도 새삼의 전령RNA가 각각 0.6%, 0.38% 있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것이 새삼과 숙주가 서로 전령RNA를 주고받는 것으로 해석했다.연구팀은 “새삼은 숙주의 전령RNA를 얻어 숙주의 ... ...
- 장금이는 왜 짚신나물을 빻아 연생이 다리에 붙였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긴 포가 있고, ‘각시원추리’는 연녹색의 작은 포가 있으며, ‘태안원추리’는 ‘애기원추리’ 와 유사하나 향이 없다고 합니다. 이처럼 형태로 ‘노랑원 추리’ ‘골잎원추리’ ‘백운산원추리’ ‘홍도원추리’ ‘골잎원추 리’도 구분했습니다. 우리 야생화를 모두 아는 길은, 아 직 험난한 것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