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애기"(으)로 총 14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꽃잎 엔딩’의 비밀 밝힌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연구결과를 생물학 분야 최고 권위지인 ‘셀’ 5월 4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연구진은 애기장대를 이용해 꽃잎이 떨어질 때 마주한 두 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했다. 식물에 남는 ‘잔존세포’와 식물의 본체에서 분리되는 ‘이탈세포’ 중 이탈세포에만 세포벽의 정밀한 분해를 유도하는 ...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똥을 생산하고 있답니다. 이강운 소장은 “소 한 마리가 1년에 2.5t의 똥을 싸기 때문에 애기뿔소똥구리의 먹이로 충분하다”고 말했어요. 하지만 이렇게 소똥구리의 수를 늘리더라도 야생에 내보낼 만한 곳이 아직 없어요. 김태우 연구사는 “충청남도 태안에 있는 신두리 해안사구와 제주도 등이 ... ...
- [헷갈린 과학] 호주의 대표 귀요미, 쿼카 VS 웜뱃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TV에서 호주에 사는 ‘쿼카’를 봤어요. 그런데 제가 알고 있던 호주 동물 ‘웜뱃’이랑 닮은 것 같아요. -신지호(wlgh0702) 쿼카는 캥거루목 캥거루아목 ... 만나면 콧잔등을 유심히 보세요. 애기웜뱃, 남방털코웜뱃, 북방털코웜뱃 3종의 웜뱃 중 애기웜뱃만 콧잔등에 털이 없고 밋밋하답니다 ... ...
- 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탐사선에 큐브샛을 실어 화성에 보낸 뒤, 지구에서 챙겨간 공기와 물을 이용해 2주 동안 애기장대 씨앗을 키워 볼 예정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소똥 속에 알을 낳는 애기뿔소똥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영양분을 얻기 때문에 사료를 먹은 소의 똥은 먹이가 될 수 없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애기뿔소똥구리를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어요. 이 곤충이 사라지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 [Career] 미래 도시 농장의 초석을 놓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찾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DGIST 내 기초과학연구원 식물노화수명연구단 류재일 박사가애기장대의 생장 상태를 카메라로 찍기 위해 장비를 작동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도입이 최대 난관현재 테스트용 GBC 시스템은 에너지원으로 기존의 수소연료전지와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했다.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이야기 열] 다시 보자! 잡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씀바귀, 엉겅퀴, 지칭개, 질경이, 환삼덩굴, 황새냉이 등 많아요.약이 귀했던 옛날에는 애기똥풀이 무릎이 아픈 어르신의 진통제로도 쓰였어요. 개똥쑥, 고들빼기, 광대나물, 괭이밥, 꽃다지, 꽃마리, 꿩의밥, 냉이, 돌나물, 명아주, 박주가리, 산딸기, 새모래덩굴, 여뀌, 이질풀, 지칭개, 차풀 등도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적격이죠. 실험용식물을 재배하는 온실도 꼭 구경해 보세요. 보통 연구소에서는 애기장대와 같이 실험에 최적화된 소수의 식물만을 키우지만, 이곳에서는 수십 가지의 다양한 식물과 곤충을 키우고 있습니다.화학생태학연구소와 5 분 거리에 있는 생지화학연구소(Biogeochemistry)와, 인접한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만들고, 꽃의 어느 부위가 생기지 않는지 관찰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애기장대가 꽃을 만드는 데 작용하는 여러 호르몬을 역할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세 그룹으로 나눴다. 이를 ABC모델이라 부른다. 하지만 한 그룹마다 수 개, 많게는 수십~수백 개의 유전자가 들어 있다. 같은 그룹에 속해 ... ...
- 세상에 이런 이름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일하던 남홍길 교수는 다른 종보다 수명이 긴 애기장대의 돌연변이 종을 발견했어요. 애기장대는 노화나 장수 연구에 주로 쓰이는 한해살이 풀이에요. 남 교수는 이 돌연변이종에 ‘oresara’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어요. 발음 그대로 ‘오래살아’의 의미지요. 당시 발표한 논문에는 “oresara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