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쏭달쏭 연산 퀴즈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모으기와 가르기]그림을 보고 모으기와 가르기를 해 보세요. [색칠하며 가르기] 하나의 수를 여러 가지로 가르기 해 보세요. 색칠한 칸의 개수는 왼쪽, ... 빈칸에 알맞은 수를 써넣어 모두 채워 보세요. 단, 1부터 9까지의 수만을 사용하고, 한 번 사용한 숫자를 다시 사용해도 돼요 ... ...
- 소수 통해 수학의 중요성 깨달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알게 돼 317을 가장 좋아한다”라며, “317이 들어간 수학 문제를 만나면 괜히 반갑고, 또 숫자 하나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보는 것이 즐겁다”라고 설명했다. 정수론 연구의 시작은 이렇게 수의 성질에 호기심을 가지는 행동이다. 정시우 학생은 “100만 번째 소수가 어떤 수인지 바로 알 수 없는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장에 숫자가 4만 4000개 들어가도록 글자 크기를 작게 인쇄해도 무려 565쪽의 책이 나오는 숫자다. 소수니까 어떤 수학자가 찾았겠거니 싶겠지만, 2018년 12월 7일 미국에 사는 당시 35세의 IT 전문가 패트릭 라오셰가 발견했다. 그런데 최근 가장 큰 소수라고 발견한 수 대부분은 중요한 공통점을 갖고 ... ...
- 소수 찾는 획기적인 방법 뤼카-레머 판정법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시행착오를 거쳐 얻을 수밖에 없었다. 1772년 오일러가 231-1이 소수라는 사실을 증명해 이 숫자는 96년 동안 ‘가장 큰 소수’라는 왕관을 썼다. 1867년에 프랑스 수학자 포춘 랜드리가 259-1을 179951로 나눈 수가 소수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던 1876년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가 메르센 수를 ...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에 대한 견해가 달랐기 때문이다. 당시에는 소수의 정의가 명확하지 않아 숫자 1을 소수로 생각하는 수학자가 많았다. 골드바흐도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오일러는 1을 소수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골드바흐의 추측에서 정수를 홀수와 짝수로 나누면 짝수의 경우에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3일 때까지만 쌍둥이 소수가 된다. 세쌍둥이 소수도 존재한다. 3과 5와 7, 이렇게 세 숫자가 세쌍둥이 소수로, 딱 하나밖에 없다. 그래서 오늘날 세쌍둥이 소수를 말할 땐 5, 7, 11이나 13, 17, 19처럼 간격이 2나 4인 세 쌍의 소수라고 정의한다. 또한 거대 소수를 찾는 것처럼 컴퓨터를 이용해 매우 큰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다시 0이 13개, 마지막은 1로 끝나는 서른 한 자리 소수다. 기독교에서 불운하다고 여기는 숫자인 666과 13이 모두 담겨있어 ‘악마의 소수’, 혹은 ‘벨페고르의 소수’로 불린다. 벨페고르는 기독교에서 지옥의 악마를 가리킨다. 벨페고르의 소수처럼 앞에서 읽든 뒤에서 읽든 똑같은 소수를 ... ...
- 과동 본문에 나오는 DOI’가 뭔가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올라와 있었어요. 사진 중간에는 본문 문장 뒤, 윗첨자로 조그맣게 붙어있는 알쏭달쏭한 숫자가 보였습니다. 아마 과학동아 독자분들이라면 기사를 읽으면서 한번은 보셨을 겁니다. 이 작은 글씨는 각 문장에서 소개하고 있는 논문의 ‘DOI’입니다. DOI를 이용하면 인터넷에서 쉽게 논문 원문을 찾아 ... ...
- 사고력 두뇌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들어가야 해요. [보석 찾기] 각 숫자는 그 주변 8칸에 숨겨진 보석의 개수를 나타내요. 숫자를 보고 모든 보석의 위치를 찾고, 111쪽 도안의 보석들을 알맞은 자리에 붙여요. [단어 찾기] 퍼즐판 위의 자음과 모음을 가로 또는 세로로 연결하면 단어가 나와요. 단어들은 서로 겹치지 않고, 가로줄은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우리나라 교사들, 두바이로 향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전력량이 전달에 비해 무려 27kWh(킬로와트시) 감소했다고 자랑하는 학생도 있었어요. 숫자로 증명되는 자신의 기후 행동에 자부심을 느낀 학생들은 프로젝트가 끝난 지금도 열심히 환경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답니다. 학생들이 한 실천은 단순하지만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행동들이었어요. 전구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