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여학생들에게 개발자란 직업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취업 과정을 도와 여성 개발자의 전체 숫자와 비율을 높여야 합니다. 개발자가 된 여성들은 리더 자리로 나아가 후배 여성 개발자를 끌어줄 수 있어야 하죠.그동안 ‘마인드 더 갭(Mind the Gap)’, ‘구글 여성 소프트웨어 캠프’ 등 여러 프로그램을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너 자신이 직접 알아내야 한다.” 현실인 줄 알고 살았던 매트릭스가 실은 0과 1 두 가지 숫자로 프로그래밍 된 가상 세계라는 것. 삶의 의미를 뒤바꿀 이 놀라운 사실을 직접 경험해야 안다는 뜻이다. 여인형 동국대 명예교수를 인터뷰하는 내내 그가 매트릭스를 깰 수 있게 도와주는 멘토라는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18.30℃로 0.12℃ 올랐지만, 우리나라 평균 기온은 18.32℃에서 18.53℃로 0.21℃ 상승했어요. 숫자만 보면 큰 차이로 느껴지지 않지만, 작은 온도 상승은 큰 변화로 나타나죠.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였던 우리나라는 점차 사계절이 희미해지고 있어요. 봄과 여름은 길어지고, 가을과 겨울은 짧아지고 있죠. ... ...
- [숫자로 보는 뉴스] 1초에 몸길이 100배 간다! 물맴이의 수영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딱정벌레의 한 종류인 ‘물맴이’는 다리를 프로펠러★처럼 회전해 빠르게 수영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물맴이는 1초 동안 자신의 몸길이보다 약 100배 긴 거리를 수영해요. 이는 사람과 비교하면 아주 빠른 속도지요. 지금껏 올림픽에서 가장 빠르게 수영한 사람은 2021년 도쿄올림픽에 나온 미 ...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계산한 표를 만들었다. 브루멜렌 교수는 이 표 중 하나인 ‘Tabulae primi mobilis B’에 실린 숫자에서 소수점이 사용된 것을 발견했다. 브루멜렌 교수는 논문을 통해 “비안키니의 소수점 표기가 당대엔 널리 퍼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비안키니의 소수점 표기에 대한 발견은 150년 후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하지만 숙련된 멀티미디어 복원 전문가의 눈에는 19, 20, 21, 22를 나타내되, 가운데에 숫자 1을 끼워 넣은 형태라는 게 보인다. 이런 데이터 속 규칙성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원하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앞서 소개한 요양병원 학대 사건에서 이 데이터는 좌표의 역할을 했다. 데이터를 해독해 얻은 ... ...
- [과동키즈] “이제는 직업을 만드는 시대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숫자로 파악해 그 흐름에 맞게 투자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듭니다. 그는 월드퀀트에서 숫자라는 명확한 데이터를 다루며 조금 더 과학적으로 생각하는 법을 배웠다고 말했습니다. “퀀트 연구자가 하는 일은 좋은 주식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수치적 데이터로 바꾸는 거예요. 수치적 데이터를 ... ...
- 전략의 신 1. 최강 타순인지 알려주는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살펴보자. 동그라미 안에서 점을 기준으로 왼쪽 숫자는 주자 상황을 뜻하고, 오른쪽 숫자는 아웃 카운트다. 즉 123.1은 주자가 1루, 2루, 3루에 있고, 아웃 카운트는 1이라는 의미다. 예를 들어 1아웃 3루에서 홈런이 나오면 득점이 2점 나오며, 1아웃에 주자가 없는 상태로 변한다(❶). 만약 3루타가 ... ...
- [특집] 청소년 뇌가 중독에 취약한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용체의 양은 뇌의 발달 시기에 따라 다르다. 유아기와 어린이 시기를 거치면서 수용체 숫자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청소년기에 가장 많아지고, 이후 스무살을 넘기면 완만하게 감소한다. 같은 양의 도파민이 나오더라도 도파민 수용체가 많으면 더 큰 쾌감을 느낄 수 있으니, 청소년의 뇌가 자극에 ... ...
- [숫자로 보는 뉴스] 해시계 읽는 법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조선시대의 휴대용 해시계인 ‘원구일영’이 어떻게 시각을 알려주는지 연구자들이 밝혀냈어요. 원구일영은 지름★의 공 모양 해시계로, 134년 전인 1890년에 만들어졌어요. 보통의 해시계는 한곳에 고정돼 있지만, 원구일영은 들고 다니면서 어디서든 시각을 읽을 수 있어요. 하지만 오랜 세월이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