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패
패주
불리
불운
멸망
d라이브러리
"
패배
"(으)로 총 135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
수학동아
l
201409
열세를 극복하고 일본군을 무찌른 명량해전을 그린 영화다. 만약 명량해전에서 조선군이
패배
했다면 일제강점기가 300여 년은 앞당겨졌을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을 정도로 조선의 역사를 바꾼 위대한 전쟁으로 손꼽힌다.영화에서 특히 주목할 장면은 이순신 장군이 단 12척의 배로 330척을 보유한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
과학동아
l
201406
공격했다. 술에 취해 자고 있던 시라쿠사의 군사들은 제대로 저항도 하지 못하고
패배
했다.당시 로마의 장군 마르켈루스는 아르키메데스의 명성을 익히 들었기에 그를 죽이지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그러나 결국 아르키메데스는 로마 군사에게 살해당한다. 이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유력한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
과학동아
l
201406
미국에서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거세지는 동안, 참 전 군인들은 전투의
패배
를 맛본 채 아무도 환영하지 않는 고국 으로 쓸쓸히 돌아와야 했어요. 그동안 베트남 전쟁에 반대했던 정신과의사와 심리학자 그리고 사회복지사들은 참전 군인들이 귀국 후에 심각한 혼란과 고통을 겪고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04
때 일부러 외부로 관심을 돌리게 한다. 히틀러가 등장할 당시 독일은 1차 세계대전의
패배
로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초인’을 기다리던 독일 국민에게 강력한 카리스마를 가진 히틀러는 구세주였다. 히틀러는 내부 갈등의 원인을 외부로 돌렸고, 2차 세계대전을 일으켰다. 아베 일본 ... ...
개미가 알려 주는 ‘기사의 여행’의 비밀
수학동아
l
201403
하다 보면 기사의 습격에 뜻밖의
패배
를 당하기도 한다. 다른 말들이 좌표평면과 같은 체스판에서 상하좌우, 또는 대각선으로 움직이는데 반해 기사는 L자 모양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기사만 움직여서 체스판의 64개 정사각형을 모두 밟을 수 있을까?최근 영국 노팅엄 대의 그레이엄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
과학동아
l
201402
집요한 요구와 논리는 이를 압도했다. 그 시점에서 동원계획을 중지시키면 결국 ‘
패배
’로 귀착된다는 압력이었다. 이는 러시아, 독일, 프랑스 군부 모두를 지배한 끔찍한 논리였다. 결국 자제력을 발휘하던 니콜라이 2세도 30일 오후 4시 러시아군의 총동원을 승인했다. 그러자 31일 12시 30분에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12
사실 그들이 손에 쥔 총은 살상용이 아니었다. 총은 분노의 상징이었고 무력함과
패배
의 예감을 잠시 덮어주는 얇은 담요에 불과했다. 불길한 예감은 총탄에 부서진 나무조각들처럼 조용히, 하얗게 혁명군의 어깨에 내려앉았다.탄약이 부족하다는 불평이 여기저기서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사실 그 ... ...
통계로 미래를 본다!
수학동아
l
201311
지난 경주의
패배
를 설욕하기 위해 열심히 운동을 했어요. 그리고 거북에게 다시 도전장을 내밀었어요.“달리기 경주에서 꾀를 부리다가 진 이후 부끄러워서 제대로 얼굴을 들고 다닐 수가 없었어. 우리 다시 한 번 달리기 경주를 하자.”거북은 통계자료를 뒤적이더니, 한참 뒤에 말을 꺼냈어요 ... ...
산호바다엔 뜨거운 남자들이 산다
과학동아
l
201310
있다. 2차 대전 당시 미국 항공모함이 이곳을 막으면서 일본군이 섬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패배
했다.박흥식 센터장은 첫날 아침부터 “낮에는 무조건 바다에 간다”고 선언하며 체험단을 들뜨게 했다. 실제로 학생들은 매일 오후마다 가까운 바다에서 스노클링과 수영을 즐겼다. 바다에 익숙해지자 ... ...
폭력 게임 좋아하면 범죄자 된다고?
과학동아
l
201309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긴 법정 싸움 끝에 2011년, 대법원 판결을 끝으로 게임 비판론자의
패배
로 마무리된 것이다. 이는 게임이 폭력을 유발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인 불신의 대상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2000년대 중반에는 과거 이뤄진 게임과 폭력성 연구에 반대하는 연구들 이 속속 논문으로 나왔다.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