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균
소독
d라이브러리
"
살균
"(으)로 총 208건 검색되었습니다.
풀 뜯는 호랑이? 담배 문 참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
발라 두면 미생물이 침입하지 못 한답니다. 황제나비나 불나방 애벌레도 저희처럼
살균
작용이 있는 식물을 이용하지요.동물도 참 다양한 방법으로 몸을 보호하는군요. 새로운사실을 알았습니다. 마지막으로 하시고 싶은 말씀은?생태계를 사람 마음대로 바꾸면 동물의 치유 능력도 사라진다는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
염소(CI)는 생물의 물질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로 소금(NaCl)에 특히 많이 들어 있지요.
살균
작용을 하기 때문에 깨끗한 수돗물을 만들 때 꼭 들어간답니다. 하지만 톡 쏘는 냄새와 눈과 코를 자극하는 휘발성 성분 때문에 싫어하는 사람도 있어요.수돗물 속의 염소를 없애는 방법도 있나요?그럼요 ... ...
녹조비상! 물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7
철과 망간 같이 맛과 냄새를 유발시키는 물질도. 또 산화력이 높아 염소보다 미생물
살균
에 더 효과가 좋아. 오존 처리시설을 거치면서 제거되지 않은 아주 작은 유기물질은 2.5m 두께로 쌓인 활성탄층을 지나며 흡착되고 분해되지. 활성탄이 나머지 악취 물질을 모두 없애 주는 거야. 녹조 강물은 ... ...
최고의 요리에 도전하라! 매스 셰프
수학동아
l
201212
방정식을 변형해 고기의 중심이 원하는 온도까지 올라가는 데 걸리는 시간과, 병원균을
살균
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알아낸 것이다.한우 맛 등급 알려 주는 공식도 있다!어떤 고기가 맛있는 고기일까? 눈으로 보거나 만져 보고 알 수 있다면 좋겠지만, 먹어보기 전에는 어떤 고기가 맛있는지 ... ...
항생제보다 100배 강한 마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1
캄필로박터균에 감염됐을 때 먹는 항생제(에리스로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보다
살균
력이 100배나 더 크다고 설명했어요. 캄필로박터균은 보호막을 쓰고 다녀서 죽이기가 쉽지 않아요. 그런데 디알리디설파이드는 이 보호막을 뚫고 들어가 균을 무찌른답니다.매운 마늘을 많이 먹으면 지구를 ... ...
깨끗한 지구 만드는 촉매홀릭
과학동아
l
201211
데 과산화수소수가 필수적인 촉매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프로필렌옥사이드는 식품의
살균
제에 쓰이거나 자동차 부동액의 재료인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런데 과산화수소수를 제조하는 기술은 일부 선진국에서만 보유하고 있다. 산소와 수소 반응으로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05
저온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스마 손전등’을 개발했다. 플라스마 손전등의
살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 ...
자연치즈 모조치즈
과학동아
l
201204
수 없지만, 치즈의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하다.오늘날 치즈를 만들 때는 먼저 우유를
살균
한 뒤 ‘렌넷’이라는 효소와 유산균을 넣는다. 렌넷은 소나 양의 위에서 나오는 효소로 우유의 단백질을 굳게 만든다. 위의 아라비아 상인 이야기에서도 우유가 양의 위로 만든 물통에 들어 있다가 치즈가 ... ...
겨울나기 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3
화학물질을 사용하게 됐어. 그런데 이 가습기
살균
제가 죽음의 원인이라니….가습기
살균
제를 쓰지 않고, 매일 가습기의 물을 새로 갈아 넣으며,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가습기 청소를 한다면 가습기를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대. 그래도 가습기를 쓰는 것이 조금 걱정된다고?올 겨울 유행은 식물 가습기 ... ...
세탁기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0
빨지 않아도 항상 깨끗하게 입을 수 있는 옷이 나올 전망이에요. 빛에 닿으면 스스로
살균
세탁이 되는 옷감이 개발됐거든요.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학생들은 면섬유에 ‘2-AQC’라는 화학물질을 발라서 특수 옷감을 개발했어요. 이 특수 옷감에 빛을 쪼이자 섬유 속에서 과산화수소와 같은 활성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