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질 바깥만
전류
흐르는 '위상부도체' 실험으로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양자화된 스핀 홀 전도도 모식도를 나타냈다. 전기를 흘려주면 스핀 방향이 같은 전자끼리 나란히 정렬하게 된다. 이때 스핀들이 이동하는 스핀 홀 전도도가 측정된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부도체지만 전기가 흐르는 위상부도체를 실험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최초로 규명했다. 수학적인 계산을 ... ...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핵심소재 ‘이온전달막’ 상용화 눈앞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넣고 구조를 바꿔서 강화 복합막 형태의 이온전달막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이 소재는
전류
를 많이 전달해서 내구성이 높았다. 화학연은 이 기술을 지난해 11월 바나듐 레독스흐름 배터리 전문기업인 스탠다드에너지사에 이전했다. 스탠다드에너지사는 모듈형 바나듐 레독스흐름 배터리를 세계 ...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선 차세대 전자소자 활용 가능성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저항은 전압이 증가하면
전류
가 늘어나는데 이 저항은 반대로
전류
가 오히려 감소한다.
전류
와 전압 특성 곡선이 마치 알파벳 ‘N’처럼 비선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보인다. 이런 특성은 차세대 소자 개발에서 원천기술로 사용된다. 연구팀은 또 부성미분저항 특성이 아직 학계에 보고되지 ... ...
핵융합 3파전…한국 인공태양이 최종 승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그 위를 달리게 해야 한다. 스텔러레이터는 꽈배기 모양으로 꼬인 도체 코일을 이용해
전류
를 흘려 전기적 성질을 띤 플라스마를 유도해 움직이게 한다. KSTAR가 채택하고 있는 토카막은 스텔러레이터와 이란성 쌍둥이다. 야생마에게 트랙을 내 줘 달리게 하고, 당근을 매달아 뛰게 만드는 것까지 ... ...
물건 만지면 활동 정보 뜬다…노약자 케어 ‘인체통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정보를 전달한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암페어는 근육치료 등에도 이용되는 안전한 수준의
전류
다. 별도의 유무선 송수신기가 필요 없어 중간에 정보를 가로채는 등 보안 사고가 날 우려가 없어 안전하다. ETRI는 이 기술 개발에 10년 이상 투자해 원천 특허와 표준화 원천기술을 확보한 상태다. 매우 ... ...
뇌파로 의사소통…마비 환자와 대화의 길 열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 한양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의 활동에 따라 일어나는
전류
인 뇌파를 이용해 마비된 환자와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외부에서 청각이나 촉각 자극을 전혀 주지 않은 상태에서 뇌파만을 통해 의사소통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임창환 한양대 ... ...
안정성 높고 잘 휘는 니켈 기반 투명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양쪽 끝인 +극과 -극을 의미한다. 전극을 통해 빛을 내는 LED와 같은 광전자 소재에
전류
가 전달된다. 휘어지고 접히는 차세대 광전자 소자들이 출현하면서 전극도 유연성과 투명성을 필수적으로 갖춰야했다. 유연한 투명 전극 소재로 은과 구리가 연구대상으로 쓰였지만 비용이나 고온에서 산화하는 ... ...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연구팀은 또 “걷거나 달리거나 점프하거나 수영을 하거나 등 사람의 행동에 따라서도
전류
신호가 달라지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루슬링 교수는 “피부가 기존의 기능을 통해 감지해내는 위협 외에도 다른 위협도 감지하면 어떨까 생각해보게 됐다”며 “다음 단계는 인공피부에 삽입할 수 ... ...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9.01.17
그래핀 양자점은 수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 반도체 나노입자로,
전류
를 흘려주거나 빛을 쪼여주면 발광하는 특성이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나 바이오 이미징, 센서 등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또 적은 전기를 쓰면서 빠르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양자정보통신 기술에도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송명훈· 김주영 교수 연구진은 접힐 정도로 유연한 PeLED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LED는
전류
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다.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전환하는 효율이 높다. PeLED도 LED의 일종으로 ‘페로브스카이트’를 광학재료로 사용한다는 특징이 있고 LED에 비해 저렴하다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