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동"(으)로 총 1,7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감고도 먹이 찾는 바다표범의 비밀은 ‘사인곡선 수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파형과 정확히 같은 진동수로 진동했다. 또한 원통의 진동수가 바뀌면 수염 모형의 진동수도 동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물범은 이것으로 먹잇감의 이동경로뿐 아니라 크기와 모양까지 알아낼 수 있다.빔 연구원은 “참물범 수염의 미세구조가 사인곡선 형태로 돼 있기 때문”이라며 “이런 ...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바로 그 때문이다. 높이 62m로 카트만두에서 흔치 않은 고층 건축물인 다라하라 타워는 저진동수 지진파에 속절없이 무너져 180명이 넘는 사망자를 냈다. 현장에서 목격한 다라하라 타워는 가장 아랫부분만 남은 채로 비닐에 덮인 처참한 모습이었다(왼쪽 사진). 다라하라 타워에서 차로 10분 정도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설치해야 해요. 진원지에서 주변으로 퍼지는 진동을 최대한 빠르게 포착한 뒤, 도시에 진동이 전달되기 전에 경보를 울려야 하지요.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일본은 진원지에서 가장 가까운 지진계에 지진이 포착된 순간부터 5초 안에 방송을 통해 사람들에게 대피 경보를 울릴 수 있을 정도로 지진 ... ...
- 시각 장애인 돕는 ‘스마트 지팡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정보를 비교해요. 그 결과에 따라 시각 장애인에게 앞에 아는 사람이 다가오고 있다고 진동으로 알려 주기도 하고,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해 누군지 말해 주기도 해요.스마트 지팡이는 길도우미 기능도 갖고 있어요. 앞에서 아는 사람이 다가오면 저장된 사진과 비교해 시각 장애인이 아는 사람이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아무리 커도 전자는 튀어나오지 않는다. 빛의 에너지는 빛의 세기와 관련이없고, 오직 진동수( f)에만 비례하기 때문이다. 만약 빛의 에너지가 W보다 크면 전자는 hf - W만큼의 운동에너지를 갖고 금속판을 벗어나게 된다. 이땐 빛의 세기가 아무리 약해도 전자를 탈출시킬 수 있다. 우리의 눈으로는 ... ...
- [참여] 내 손으로 날리는 다재다능 드론수학동아 l2015년 11호
- 모형 헬리콥터를 조종하는 것보다는 훨씬 쉽다”고 말했습니다. 드론은 헬리콥터보다 진동이 적을 뿐만 아니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가 드론의 양쪽 균형을 맞추기 때문입니다.촬영용 드론에는 작은 카메라가 달려 있습니다. 이 드론이 나는 모습을 보면 아무리 조종을 잘 해도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존재한다. 이 상수는 θ23, θ12, θ13라는 세 각도로 표시한다. 이번 노벨물리학상의 업적인 진동변환 발견을 통해 카지타 교수는 θ23, 맥도널드 교수는 θ12의 변환 세기를 측정했다.한국에서도 이 변환 세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필자는 이 중에서 가장 약한 변환 세기인 θ13를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가정한다면 2T초 후에는 모두 처음 출발선에 다시 도착하게 될 것이다. 광자들도 처음에 진동시킨 뒤 T초가 지나고 다시 돌아오게 하면 처음과 똑같은 파장의 형태를 띤다. 2T초마다 정보를 열어 볼 수 있는 일종의 메모리인 셈이다. 광자 울림은 정지 빛보다 오래된 기술이다. 1960년대 처음 등장한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기를 발생시키는 반면, 선형 교류발전기는 왕복운동을 전기로 바꿀 수 있다. 기둥이 진동할 때 위아래 기둥 사이가 가까워졌다가 멀어지는 선형운동으로부터 전기를 발생시킨다. 볼텍스 블레이드리스사는 지금까지 높이 13m인 시제품 ‘볼텍스 미니’를 이용해 4kW의 전력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고,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코를 자극하는 마이야르 반응고기를 구우면 색이 갈색으로 변하며 향긋한 고기 냄새가 진동을 해요. 이는 고기 표면이 뜨거워지며 마이야르 반응이라 불리는 갈변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이에요.마이야르 반응은 1912년 프랑스의 생화학자 루이 카미유 마이야르에 의해 발견됐어요. 이 반응은 음식물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