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d라이브러리
"
전류
"(으)로 총 1,20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빛이 그 통로를 따라 이동해 일종의 광 집적회로로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반도체가
전류
를 흘렸다 차단했다 하는 것과 비슷하게 빛의 흐름을 제어하는 셈이다. 양 교수는 “이런 성질 때문에 광결정은 ‘빛의 반도체’라고 불린다”고 말했다.실제로 광결정은 전자 대신 광자로 정보를 처리하는 ... ...
전기가 흐르는 누드김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전류
가 흐르지 않잖아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은 코팅된 바깥쪽으로만
전류
가 흐른답니다. 꼭 전선을 뒤집어 놓은 것처럼 말이지요. 하하하~, 그래서 누드김밥이라고 비유한 거예요.신기하면서도 재미있네요. 그런데 이번에 개발된 나노전선과 나노튜브는 어디에 쓸 수 있는 건가요? 실제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빠르게 움직이다가 목적층에 정확히 멈추고, 다시 수초 내에 속력을 낼 수 있으려면 많은
전류
를 일정하게 공급했다가 정확히 차단할 수 있는 장치도 필요하다. 예측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면 부드럽게 출발하고 멈추도록 권상기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김 팀장은 “과거에는 권상기의 높이가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막의 틈 사이로 끼어들어가 박힌다는 것. 이렇게 되면 양쪽 전극에 전압을 걸어줄 때
전류
흐름을 교란한다. 연구팀은 PEDOT:PSS라는 전도성고분자를 먼저 단분자막 위에 덮어준 뒤 그 위에 금을 증착시키는 방법을 고안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리고 전극 사이의 전압을 올리자 어느 순간 분자 고리에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해가 빠르다. 전기가 통하는 물질인 도체를 서로 직각 방향이 되도록 움직이면
전류
와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와 비슷하게 딱딱한 내핵을 감싸고 있는 외핵이 지구의 자전에 의해 적도 부근으로 몰리면 내핵과 외핵은 서로 직각 방향으로 회전한다. 자기장이 남극과 북극의 방향으로 형성되는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2010년부터 시작될 2단계 연구과정에서 나노와이어와 DNA 분자를 붙이고 여기서 흐르는
전류
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 시도가 성공하면 생명공학을 비롯한 다른 분야에서도 관심이 이어질 것으로 황 교수는 보고 있다. 2013년 3단계 연구과정에 이르면 실제로 하이브리드 소자를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튀어 나오는 10MeV(메가전자볼트, MeV=106eV)의 양성자 빔을 쪼여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
의 양을 조절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강한 양성자 빔을 산화아연 나노선으로 구성된 트랜지스터에 쪼이면, 트랜지스터 경계면에 불순물이 생기면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하는 원리였다.연구팀은 또한 ... ...
고체 핵자기 공명 분광기로 연료전지 효율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생긴다. 수소이온은 고체 고분자전해질막을 통과해 반대편 전극으로 넘어가는데, 이때
전류
가 만들어지며 물과 이산화탄소는 바깥으로 빠져나간다. 그동안 전문가들은 메탄올의 일부가 산화되지 않고 반대편 전극으로 확산돼 연료전지의 효율이 떨어질 것이라고 추정하기만 했다.한 박사팀은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전압은 니켈수소전지의 3배다. 만약 전압이 낮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출력을 높이려면
전류
를 많이 흘려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배선이 굵어져 자동차 내부 장치의 덩치가 커진다.게다가 리튬이온전지에는 이른바 ‘기억 효과’가 없다. 기억 효과란 충전과 방전을 100% 하지 않으면 전지 용량이 ... ...
초고속 정보통신 사회 구현하는 광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CPU 속도가 지금의 4GHz 벽을 넘기도 쉽지 않다고 예측한다. 반도체 소자 폭이 줄어들수록
전류
가 줄줄 새는 현상 같은 여러 가지 현실적인 제약이 나타나기 때문이다.인하대 정보통신대학원 함병승 교수가 이끄는 광양자정보처리연구단은 빛의 특성과 양자역학을 이용해 디지털 방식의 CPU와는 전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