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의"(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컴퓨터로 만드는 난수는 씨앗에 좌우된다. 게다가 컴퓨터로 난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의 종류는 두 세 개로 한정돼 있다. 난수를 만드는 방법이 같으니 만약 같 ... 불확실한 난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난수Part1. 난수, 넌 누구니?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Part 3. 완벽한 난수를 ...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6년 03호
- , 19 같은 소수 쌍을 의미한다. 즉 뤼카-레머 판정법을 통해 메르센 소수를 찾았더라도, 그 수의 앞뒤로 2만큼 차이가 나는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다.뤼카-레머 판정법을 이용해 컴퓨터로 메르센 소수를 찾는 데 처음으로 성공한 사람은 미국의 수학자 라파엘 ... ...
- Part 4. 동물실험 안 할 순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실험동물 대체할 ‘오가노이드’동물실험 대신하는 방법으로 ‘오가노이드’가 꼽히고 있어요. 오가노이드는 사람의 장기와 똑같은 기능을 하지만 크기는 작은 ‘미니 장기’를 뜻해요.오가노이드를 만들기 위해선 일단 만들고자 하는 장기에서 세포를 일부 채취해요. 이 세포들을 배양 접시에서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미국에는 삼색 털을 가진 고양이가 유달리 공격적이라는 속설이 있다. 미국 UC데이비스 수의대 연구팀은 이 속설을 확인하기 위해 고양이를 키우는 1274명을 대상으로 고양이가 언제, 얼마나 공격적인지 설문조사를 했다(doi:10.1080/10888705.2015.1081820). 그 결과, 길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황색 삼색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먹을 수 없으니까요. 특히 신생대에 번성한 볏과 와 콩과의 식물은 번식률이 높고 많은 수의 열매가 한꺼번에 열리기 때문에 주식으로 안성맞춤이랍니다. 누구를 피할까? 기껏해야 1~2m 크기인 인류에게 수십m 크기인 공룡은 가장 무서운 적이었을 거예요. 어떤 종이든 살아남기 위해서는 포식자를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잘못 따라한 걸까요. 실제 동물이 싸울 때의 특징부터 알아보고자 신남식 서울대 수의대 교수(야생동물의학교실)를 찾아갔습니다. 신 교수는 “해부학적으로 사람과 동물들이 너무 다른데 공통점이 있을까요?”라며 사람이 하는 동작이 애초에 동물을 따라할 수 없다고 선을 긋습니다. 그럼 쿵후는 ... ...
- [과학뉴스]제비야, 너는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알아내고자 했어요. 하지만 제비에게 직접 위치 추적기를 달아야 하기 때문에 적은 수의 제비에게만 위치 추적 기술을 사용할 수 있었어요. 또 제비가 먼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 측정이 더욱 어려워진다는 단점을 갖고 있었지요.캐나다 환경부의 케빈 카디날 연구팀은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위치 ... ...
- 리만가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모든 암호는 RSA 암호체계를 따르고 있다. RSA 암호는 큰 수를 두 소수의 곱으로 분해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이용한 암호다. 60자리 소수 두 개를 곱해 암호를 만들고, 소수를 암호를 푸는 열쇠로 사용한다.그런데 만약 리만 가설이 참이라면 이런 소수에도 규칙이 있다는 소리가 ... ...
- [News & Issue]동면하는 영장류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알려져 있었다.그런데 최근 겨울잠을 자는 영장류가 추가로 밝혀졌다. 오스트리아 비엔나수의대 야생생태연구소 토마스 루프 교수팀은 베트남에 서식하는 피그미늘보로리스(Nycticebus pygmaeus)가 겨울 동안 동면에 들어간다는 사실을 밝혀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5년 12월 3일자에 발표했다. ... ...
- [Knowledge] 혼돈 속의 기묘한 질서 카오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부피의 합이 처음 있던 커다란 치즈덩어리 하나의 양과 같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무한한 수의 프랙탈 치즈 덩어리를 만들어 팔 수 있다. 그리고 놀랍게도 프랙탈 치즈를 모두 팔고 난 뒤에도, 여전히 처음과 같은 부피의 치즈 덩어리가 남아있다(사실 문제가 하나 있다. 부피가 0인 프랙탈 치즈는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