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죄수복
임의
시체 입히는 옷
의지
욕구
자유
마의
d라이브러리
"
수의
"(으)로 총 1,54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복불복 룰렛의 기댓값 구하기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돌리는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수학적 확률에 가까워지기 때문이에요. 이를 ‘큰
수의
법칙’이라고 하지요. 이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서 원하는 수를 입력하면 그만큼 룰렛을 돌려주는 프로그램을 엔트리로 만들어봅시다 ... ...
[과학뉴스]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그 과정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선택됐는지는 알려진 게 없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
수의
대 연구팀은 단봉낙타가 가축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9일자에 발표했다.일반적으로 동물을 가축화하면 그 과정에서 유전자 ... ...
단맛 실험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구형이라면 초코볼을 차곡차곡 쌓아 전체 공간의 74%를 채울 수 있으며, 이때 가장 많은
수의
초코볼을 담을 수 있다’라고 대답했지요.하지만 이 대답은 반만 맞는 정답이었어요.상자에 초코볼을 담을 때에는 빈 공간이 없도록 차곡차곡 담지 않고 우르르 쏟아 붓기 때문이에요. 실제로 이렇게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살펴보면 타격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죽음 원인 밝히는 최후의 흔적매년 적지 않은
수의
사람들이 사고로 목숨을 잃고 시체농장으로 들어온다. 죽음은 안타깝지만 이들이 남긴 뼈는 연구와 교육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 덕택에 법의인류학자들은 범죄 사건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의 뼈가 담고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자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변화까지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최근 박재학 서울대
수의
대 교수팀은 선박 도료에 포함된 주석 성분(Trimethyltin chloride)을 섭취한 제브라피쉬가 낳은 알을 관찰한 결과, 기형 개체가 많다는 것과 신경 발달이 억제돼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독성학 및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분포하는지 더 잘 알면 암호 해독에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수학자들이 이번에 발견된 소
수의
성질을 어떻게 설명할지, 또 그것을 어떻게 증명할지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꼭 배워야 하는 IT 분야가 등장했다. 바로 암호다.정수론★정수와 소수 같은
수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암호 안 풀고도 자유자재로 분석하려면?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공개키 암호는 암호가 걸린 상태에서 통계 분석을 할 수 없다. 의미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선 반드시 암호를 풀어 원래 데이터로 ... ...
Part 2. 지도를 만들 수 있던 비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다른 두 변의 길이를 제곱한 수를 합한 것과 같음을 말한다. 이 피타고라스 정리에 맞는
수의
쌍을 피타고라스 수라고 부른다.바빌로니아인은 피타고라스가 태어나기 1000년 전에 이미 피타고라스 수를 알고 있었다. 플림프톤322에는 60진법으로 나타낸 쐐기문자가 4열 15행으로 나란히 새겨져 있다. 6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쓴다.점토판에 쐐기의 끝을 비스듬히 자른 첨필로 새겼다. 두 가지 기호로 자리에 따라
수의
크기가 달라지는 ‘위치적 기수법’과 60진법을 사용했다.마야 문명의 수학과 과학은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큰 업적은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과 0을 나타내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마야 숫자는 2 ... ...
[지식] 어벤져스 vs 어벤져스, 그들만의 대결이 시작된다!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원거리 전투에서는 근접전보다 병력 수가 더 중요해진다. 각 진영의 총 공격력은 병력
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즉 우리 편의 병력이 상대편의 절반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기려면, 우리 편의 전투력은 상대편의 2배가 아닌 4배 이상이어야 한다.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 ...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