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숙아
이형인 사람
기형인 사람
병신
기형
신체이상
d라이브러리
"
불구
"(으)로 총 1,97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받았더니 항목의 3분의 1이 서로 반대가 되는 예측을 했다고 말했다.이런 회의에도
불구
하고 많은 전문가들은 어떤 혁신적인 기술도 초기에는 비슷한 길을 밟았다며 미래를 낙관하고 있다. DNA해독 비용이 더 떨어져 100만 원 정도에 개인의 전체 게놈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유전자와 질병, 약물의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난포가 난소에서 방출돼 나팔관으로 들어가는 시기다. 맥클린톡의 집요한 연구에도
불구
하고 인간 페론몬의 실체는 여전히 안개 속에 싸여 있다. 곤충 실험결과를 보면 페로몬 분자 몇 개만 있어도 작용할 수 있을 정도로 생명체는 극히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분석기기는 이런 농도의 물질을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너무 매운 탓에 죽은 사람이 나왔다고 결론지었다.곳곳에 수많은 근거가 있음에도
불구
하고 고추에 대해 잘못된 역사가 널리 알려졌던 이유는 무엇일까. 한 사람이 잘못된 정보를 갖고 주장한 내용을 사람들이 자세히 알아보지 않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여 확대해 퍼트린 결과다. 아이러니하게도 고추 ... ...
진짜 재미있는 과학은 진지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시선을 담아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지적한다.이런 목표와 가능성에도
불구
하고 ‘사이언스온’이 넘어서야 할 벽은 있다. 무엇보다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생존기반인 수익모델이 없다는 점이다.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인터넷신문 ‘사이언스타임즈’는 관변지적 성격이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외과 수술을 대체할 만큼 독보적이다.하지만 수술에 적용된 시간이 4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
하고 레이저는 직선 방향으로, 직접 조사할 수 있는 부위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종종 거울로 레이저광의 방향을 조절해 더 깊은 환부까지 들여보내기도 하지만 그럴 경우 레이저의 강도는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술을 예로 들면서 수술시 환자 머리 부분의 혈액을 완전히 뽑아 뇌파가 없었음에도
불구
하고 수술 뒤 환자가 임사체험을 경험했다고 주장했다. 뇌파가 나오지 않는 것은 대뇌피질이 기능하지 않는 완전한 뇌사상태를 의미한다.임사체험에 대한 연구는 현재 진행형이다. 영국 사우샘프턴대 샘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첫 글자를 따서 ‘메이저(MASER)’로 명명했다.하지만 타운스는 장치 개발에 성공했음에도
불구
하고 메이저 이론의 발견 우선권을 주장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동일한 구상을 먼저 논문으로 발표한 과학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구(舊)소련 물리학자 알렉산더 프로호로프인데, 타운스는 195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효과 미지수‘적게 먹고 많이 운동하기’라는 만고불변의 다이어트 공식에도
불구
하고 전 국민의 3분의 1 이상은 아직도 비만과 전쟁 중이다. 이들에게 눈과 귀가 솔깃한 방법이 바로 식욕억제제나 지방분해주사 같은 약물 요법이다. 최근엔 경락 마사지, 지방을 진동시켜 뺀다는 초음파 패치,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발표까지 걸리는 시간이 2015년에는 50초, 2020년 10초 수준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한반도 전체를 관통하는 지진 예측 모델이 아직까지 없다는 점은 문제로 꼽힌다. 현재로선 지진이 발생해도 원인과 이유를 명확히 알아낼 길이 없다.일각에서는 대규모 지진의 발생 가능성에 여전히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교수는 “지난해보다 우수한 작품이 많이 출품됐다”며 “대상작은 대형 작품임에도
불구
하고 달의 크레이터(운석충돌구덩이)나 산맥 등 여러 지형이 뚜렷하게 드러난다”라고 밝혔다.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si.re.kr), 국립중앙과학관(www.nsm.go.kr),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