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1990년 4월 24일 발사된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구 저궤도를 돌면서 하루도 쉬지 않고 우주를
관측
하고 있지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허블 우주망원경의 생일을 맞아 특별 웹페이지를 열고 그동안 허블 우주망원경이 어떤 일을 해 왔는지 볼 수 있는 영상과 사진 등을 공개 했답니다.그중 사람들의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한다. 아라온호에 탑재된 헬리콥터를 타고 인공위성보다 낮은 고도에서 해빙을
관측
할 때도 있다. 현장 조사에서는 예상치 못한 일이 종종 발생한다. 2019년 북극 항해 당시에는 북극 해빙의 움직임을 조사하기 위해 해빙 표면에 범지구위성항법스템(GNSS) 추적기를 설치했는데, 며칠 뒤 북극곰이 ... ...
[People] “나는 극지 과학자입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자원공학 전공)특정 지역을 정밀하게
관측
할 수 있는 무인기와 넓은 지역을 광범위하게
관측
할 수 있는 인공위성을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면 극지를 효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습니다. 대학원 시절 무인기로 지형을 측량하는 공부를 한 경험을 살려 극지의 독특한 지형을 연구해나갈 계획입니다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방법이 있긴 합니다. 바로 인공위성
관측
입니다. 인공위성은 365일 24시간 극지의 변화를
관측
할 수 있습니다. 해빙의 변화를 확인해 기후변화를 연구하고, 빙붕의 붕괴를 포착하며, 북극과 남극으로 출동하는 쇄빙선의 위치를 확인하는 역할도 합니다. 국내에서 이런 일을 하는 곳은 극지연구소가 ... ...
질문하면 답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지구에서 그 천체까지의 거리로 나눈 값인 ‘허블상수’를 발표했어요. 허블상수는
관측
의 정확도가 높아지며 수정을 거듭하다 현재는 약 70km/s/Mpc*가 주로 쓰이고 있어요. 1메가파섹(Mpc, 326만 광년) 떨어진 은하는 지구에서 초속 70km, 0.000016광년 떨어진 태양은 지구에서 초속 0.0003mm로 멀어지고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가능한 최적의 해빙 캠프를 찾을 수 있다. 해빙 캠프를 물색할 땐 해빙을 더욱 자세히
관측
하기 위해 해상도 3m, 촬영범위 30km 모드로 바꾼다. 해빙 캠프는 아라온호가 북쪽 해빙 밀집 지역에 닿을 때까지는 무조건 찾아야 한다. 예상 기한은 나와 있지만, 항해 상황에 따라 1~2주 당겨지거나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태풍 예보 정확도 높인다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중국에서 약 7조 원의 피해액을 낸 태풍 하이쿠이의 레이더
관측
자료를 대입했습니다.
관측
자료가 많으면 많을수록 모형에 쓰이는 방정식을 실제와 비슷하게 만들 수 있어 예보 오차를 줄일 수 있지요. 이렇게 수학 모형에 쓰이는 방정식을 보정하는 ‘자료 동화’ 기법을 적용해 모형을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인공위성으로 조사한 해역에서 직접 식물플랑크톤의 엽록소 농도를 조사한 뒤 인공위성
관측
결과와 비교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로 극지 바다의 식물플랑크톤 농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해수 온도가 상승하고, 해빙이 녹으면서 얼어있던 철분이 빠져나와 식물플랑크톤의 ... ...
[별헤는수학] NASA의 원반 탐정 행성이 탄생하는 원반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20년 09호
찾기의 기준은 ‘원’NASA 연구팀은 원시행성계 원반을 찾기 위해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관측
할 수 있는 모든 하늘을 촬영하고 있습니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는 빛의 일종인 적외선이 나오기 때문에 그 빛을 포착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망원경에 달아 사진을 찍는 것이죠. 하지만 다른 천체에서도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자동 시스템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김 단장은 “앞으로는 인공위성
관측
정보를 얼마나 많이 보유하는가가 국가나 기관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며 “인공위성에서 매일 수집되는 다양한 종류의 빅데이터와 현장 조사 결과가 더해져 미래 극지 탐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