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색소폰과 클라리넷 부는 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모범생(?)의 대답은 어쩔 수 없다(웃음). 아내를 선택하겠다.
지난
해 아내 생일 때 색소폰으로 생일축하 음악을 연주해줬더니 아내가 너무 좋아하더라.2. 가장 기억에 남는 콘서트는?독일에서 공부한 탓에 독일 부근으로 출장을 갈 기회가 많다. 언젠가 이탈리아의 명지휘자인 ... ...
“세종과학기지, 스무 살 청년 됐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세종과학기지를 세웠어요. 남극의 기후와 자원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였죠. 그 결과
지난
20년 동안 기후변화를 비롯해 신물질 발견, 수산 자원 등에서 많은 성과를 이뤘답니다.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세종기지의 뒤를 이을 제2의 남극기지를 세울 준비를 하고 있어요. 또 내년이면 우리나라에서 만든 ... ...
“아찔~!”지구로 다가온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지난
1월 29일, 소행성이 지구 가까이 접근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혹시 지구와 충돌하는 것은 아닌지 사람들의 관심이 쏠렸지만, 다행히 스쳐 지나갔습니다. 도대체 이 소행성은 얼마나 가깝게 접근했던 걸까요? 지구는 앞으로도 소행성으로부터 안전한 걸까요? 지금부터 지구를 스쳐 지나간 ... ...
3. 나를 키운 건 8할이 그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때 보고 들은 경험은 그 뒤 제가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바꿔놓았습니다.”
지난
해 여름 국가핵융합연구소에서 멘토링을 가진 뒤 6개월 만에 연구소를 찾는다는 건국대 신소재공학과 4학년 박주현 양은 대전행 KTX 차내에서 당시를 떠올리며 미소지었다. 당시 3학년이던 주현 양은 ‘이 공부를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물론 남녀한몸증 환자나 염색체상 성이 불분명한 환자는 성전환수술을 받는 것이 좋다.
지난
해 7월 국내에서도 성염색체상 여성이지만 남성의 생리구조를 지니는 반음양증을 앓던 한 살짜리 ‘중성’ 아기가 성전환수술을 받은 뒤 남성으로서 삶을 시작했다.하지만 정상 염색체를 가진 사람이 ... ...
로봇과 스피커, 종이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학생들을 격려한다.‘전기종이’ 연구를 시작한지 올해로 정확히 10년째. 김 단장은 “
지난
10년보다 앞으로 10년이 더 기대된다”며 “세계에서 최초로 ‘마법 종이’를 꼭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있어. 그 중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습지가 네가 말한 신두리해안사구의 두웅습지야.
지난
해 12월에 람사르 습지로 지정됐을 만큼 생태학적으로 가치가 크지. 동식물들이 안정적으로 살 수 있고, 특히 물이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한 양서류와 수서 곤충이 마음 놓고 번식할 수 있는 곳이야. ... ...
북극곰의 위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지난
여름 미국 지질조사소의 과학자들이 북극곰의 서식지인 해빙을 조사한 결과 그 면적이 지속적으로 줄었다. 이대로라면 현재 1만 6000~2만 마리 정도인 북극곰 수가 2050년에는 3분의 2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
최초의 '그린' 해저탐사선 상용화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무인 해저탐사선(일명 로봇 수중글라이더)을 성공적으로 운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해 12월에 운항을 시작한 이 수중글라이더는 아직 한 번도 멈추지 않은 채 푸에르토 리코 동쪽에 있는 세인트 토마스 섬과 세인트 크로이 섬을 20회 이상 왕복해 왔다. 연구팀에 따르면 앞으로 6개월 동안은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threatened species)으로 분류됐다. 2억6000년 전부터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양서류는
지난
20~30년 동안의 짧은 기간에 무려 168종이 멸종됐다. 한편 양서류의 약 40%는 집단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고 보고됐다.양서류 감소원인 중에 환경변화의 위험요소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증가, 화학물질에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