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d라이브러리
"
우리
"(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기술을 북한에 전달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그걸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우리
가 사용하는 물 처리 시스템 중에도 실패한 것들이 많거든요. 지금보다 더 나은 기술을 만들어야죠. 물론 북한의 물 전문가와 함께요. 이런 것들이 공학자가 해야 하는 통일 준비라고 생각해요.” 아프리카에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노란색 줄무늬로 덮인 화려한 색상 때문이다. 하지만 우유뱀이 이렇게 화려한 이유는
우리
에게 예뻐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다. 바로 같은 지역에서 서식하는 맹독성의 산호뱀을 따라 한것이다. 산호뱀은 화려한 줄무늬를 이용해 천적에게 자신이 맹독성임을 경고하고, 우유뱀은 이 산호뱀의 줄무늬를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때문이다. 그래서 각 나라마다 기준이 되는 시각을 ‘표준시’로 정해 놓고 사용한다.
우리
나라 표준시는 울릉도 동쪽 350km 지점을 지나는 동경 135°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原子時 원자시(근원 원, 아들 자, 때 시)‘원자’는 본래 물질이 고유한 성질을 갖는 가장 작은 단위로, 물질의 근원이 된다고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불러요. 사람 뇌와 완벽하게 똑같은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것이 목표지요.
우리
뇌의 복잡한 구조를 기계로 구현하기 위해 지금까지 2000개가 넘는 칩을 넣어 컴퓨터를 만들었어요. 이 컴퓨터는 1초에 약 23조 개의 계산을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 기계는 아직 쥐의 뇌 구조와 비슷한 정도밖에 안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분야에서 전문가의 연구를 돕는다. 팔방미인 브릭의 매력은 어디까지일까? 분명 브릭은
우리
주변에서 단순한 장난감 그 이상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게 확실하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팔방미인 수학자 브릭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PART 2 학문을 품은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훨씬 다양해졌듯이 한식과 만나면서 치킨의 가능성도 무궁무진해지고 있습니다."그동안
우리
는 8가지의 공식과 음식을 만났습니다. 딱딱하기만 한 수학공식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쉽게 다가갔길 바랄 뿐입니다. 고독한 미식가의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하지만 수학의 맛을 찾아 떠나는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배양하기도 어렵다. 사람과 직접 연관된 분야가 아니다보니 관심도 적다. 그럼에도
우리
는 식물의 놀라운 유연성을 계속 연구해야 한다. 멘델이 완두콩에서 현대 유전학의 토대를 다졌듯, 어쩌면 식물의 후성유전적 강점이 후성유전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있다. 정 교수는 “영화 속 설정은 감성 시스템에만 좌우되는 감정적인 인간으로
우리
를 묘사하고 있다”고 말했다.감정이 모든 의사결정을 하진 않지만, 그래도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사실이다. 세계적인 심리학자 폴 에크만은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글에서 “감정은 현재 상황에서 내가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역할이 컸다. 공포에 질린 그들의 큰 눈망울과 귀가 아플 정도의 비명소리는
우리
를 소름 끼치게 하기 충분했다. 공포영화에 나오는 여배우의 목소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귀신을 봤을 때 내지르는 높은 음역대(300Hz 이상)의 목소리와 중요한 대사(‘이 동영상을 보면 죽어…’와 같은)를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빛의 속도와 같았다. 빛도 전자기파의 한 종류임이 밝혀진 것이다. 전자기파 덕분에
우리
는 오늘날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쓸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헤르츠 자신은 전자기파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전혀 깨닫지 못했다고 한다. 헤르츠는 자신의 성공이 단순히 맥스웰의 예측이 맞았다는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