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AI 확산 막을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20
검사에만 2~5일이 소요되는 판입니다. 비교적 간편한
유전
자 증폭법 (AI 바이러스에서
유전
물질인 RNA를 추출해 증폭, 분석하는 방법)을 쓴다 해도 6~48시간이 걸립니다. KIST와 한국생명공학연구소는 각각 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진단 키트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KIST는 기존 현장진단 ... ...
조류독감과 철새에 대한 궁금증 BEST 3
2017.11.20
N1형’으로, 1996년 중국 광동 지역 거위에게서 처음 발견됐습니다. 1997년 이 바이러스는
유전
자 일부에서 변이가 일어났고 급속도로 퍼져 심지어 사람도 감염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이 바로 유명한 1997년에 홍콩에서 유행했던 ‘홍콩 조류독감’ 이야기 입니다. 당시 홍콩에서만 사람 1 ... ...
북아메리카 비둘기가 멸종한 원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처음엔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하고 개체수가 급격히 증가했다”며 “하지만 모든 개체가
유전
적으로 유사하게 되어 인간이나 환경의 위협 같은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개체군이 크고 안정적인 종일지라도 급격한 환경 변화로 인해 멸종할 수 ... ...
독일 소년은 어떻게 희귀 피부병을 고쳤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1.19
네이처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 2015년 어느 날.
유전
적 피부질환 분야 전문가인 데 루카 이탈리아 모데나대 교수는 독일의 한 병원으로 ... “향후 크리스퍼
유전
자 가위와 같은
유전
자 편집 기술을 통해 돌연변이를 유발하는 모든
유전
자를 조작한 치료법이 나오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카드뉴스] 긁으면 긁을수록 더 가려운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통증의 일종입니다. 미국 워싱턴대학교 첸 조우펭 교수팀은 고통에 반응하는 ‘BRAF’
유전
자가 활성화되도록 조작한 실험쥐의 행동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쥐는 고통스러워하기보다 온 몸을 계속 벅벅 긁었습니다. 가려움과 고통의 신호 전달경로가 서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입니다. ... ...
비만 관련
유전
자 ADRB3, 미리 알았다면 날씬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결과를 받아 볼 수 있다. 김태형 테라젠이텍스 이사는 “해외 기업들은 다양한
유전
자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자료를 축적한 뒤 게놈 해독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며 “국내 기업들도 충분히 그들과 경쟁할 수 있는 기술을 갖고 있지만 제도에 막혀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섞인 ‘잡종’임을 밝힌 2010년 스반테 페보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인류학연구소
유전
학부장팀의 결과부터, 우울증 등 현대인의 질병 다수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기원했다는 최근 연구까지 다양한 결과가 게놈 해독 기술 때문에 가능했다. 혈액 속에 떠다니는 작은 암세포의 DNA를 포착해 ... ...
몬산토,
유전
자변형GM 비판에 응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3
몬산토를 바라보는 대중의 시선은 두 가지다.
유전
자변형(GM) 작물 생산 시대를 연 기업이라는 일부 환경단체나 소비자들의 시선이 하나다. 환경이나 인체에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도입했다는, 지금은 과학자들이 동의하지 않는 비판이 깔려 있다. 다른 하나는 생명과학자들이 바라보는 시각이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3,4년 뒤 100달러로 내 모든 DNA 한눈에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저렴해지는 것과 함께 혈액 속에 들어있는 극미량의 질병 관련
유전
체 물질을 잘 찾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마흔살 게놈 해독 기술의 숨가쁜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40년은 기초 과학 분야에서 ‘혁신’이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 준 시간이었다. 1950년대에
유전
정보를 실어 나르는 기본 단위가 DNA 분자라는 사실이 밝혀진 뒤 그 정보를 읽어 생명의 ‘설계도’를 손에 넣으려는 시도가 이어졌다. 구체적인 성과는 1970년대에 나타났다. DNA를 직접 읽는 대신 짝을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